오피니언 Fountain

Effective movement

중앙일보

입력

생활감정

유럽이나 일본 등 해외에 나가면 비싼 대중교통 요금에 깜짝 놀라게 된다. 특히 택시요금은 입이 떡 벌어질 정도다. 지난해 한국교통연구원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의 교통비용 지수 비교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우리 대중교통 요금은 OECD 국가 중 하위 5위권 수준이었다. 택시요금은 8번째로 저렴했다.

그간 정부가 추진해온 교통정책 가운데 실효성 없는 것 중 하나가 ‘택시 고급화’다. 택시요금을 대폭 올려 버스나 지하철 이용을 늘리자는 것이다. 한동안 묘책으로 거론됐지만 결국 현실에 맞지 않는 것으로 결론났다. 귀족택시의 대명사인 모범택시의 부진이 대표적이다. 최근 카드택시·브랜드택시 등이 차별화된 서비스를 내세우고 있으나 귀족 모델은 아니다.

자가운전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유인하기 위해 마련한 다른 방안도 실속없기는 마찬가지다.

여타 교통 선진국처럼 지하철이나 버스 이용이 편리하지 않다는 게 큰 이유다. 거기에 한국인의 심리, 생활문화 환경이 있다. 택시나 승용차가 늘 ‘빨리빨리’를 추구하는 한국적인 라이프 스타일이나 정서와 잘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주차료 폭탄에 통행료 부담 등을 감수하고도 자기 차를 끌고 다니고, 어차피 막히는 러시아워를 제외하고는 택시 타기를 선호하는 것이 한국인의 생활감정이다.

한마디로 택시나 승용차란, 전쟁 같은 속도전이라는 한국적 삶의 현실을 반영하면서 그 안에서 잠시나마 쉬어가는 공간인 것이다. 덧붙여 ‘겉으로 보이는 게 나’ ‘내 차가 곧 나’라는 세태도 있다. 이런 생활감정과 정서를 무시한 채 세우는 교통정책은 그야말로 탁상공론이기 십상이다.

최근 논란 끝에 입법예고가 연기된, 서울시의 백화점 등 대형 건물 진·출입 차량 혼잡통행료 부과 방안이 대표적이다. 국민의 생활정서는 무시한 채 그저 부과금만 때리면 그 부담을 피하려 버스나 지하철을 탈 것이라는 단순한 발상이다.

지난 대선 직후 성공회대 조호연 교수는 진보진영에 주는 충고를 담은 글에서 “새 정부는 물리적 독재가 아니라 사람들의 욕망과 선호에 호소하는 보수정권일 가능성이 높다. 이제 진보세력이 진짜 획득해야 하는 것은 새 정부를 상대로 한 정치적 승리가 아니라 일반 국민의 ‘가슴과 마음’”이라고 썼다. 이 가슴과 마음이 바로 생활감정, 국민감정이다. 출범 3개월 만에 국민과의 소통 실패를 고백한 정부가 잃은 것도 국민의 가슴과 마음이 아닐까. 따지고 보면 광우병 파문도 먹거리 문제라면 예민할 수밖에 없는 뻔한 생활감정을 무시한 결과다.

양성희 문화스포츠부문 차장

Effective movement

When Koreans go abroad to Europe or Japan, they are stunned by the expensive transport fees there. Taxis are extremely expensive. According to a study that compared transport costs among member countries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nducted by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Korea’s public transportation fees are fifth cheapest. Taxis in Korea are eighth cheapest, buses sixth cheapest and the subway eighth cheapest.

The study pointed out that such low costs for transport or personal vehicles added to Korea’s competitiveness in transport. It concluded that the government-backed measure to increase public transport fees was contrary to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ne of the ineffective transportation policies was introducing luxury taxis. The policy originally aimed at encouraging people to take buses and subways by increasing taxi fares. It was regarded as a good idea, but it failed. Recently, different types of taxis, such as card or brand taxis, have emerged, but they are not luxurious. Similar measures have also proved ineffective.

This is because subways and buses here are not as convenient as they are in advanced countries. Also, use of taxis or private cars reflects Koreans’ priority on getting things done quickly. Despite expensive parking fees, people prefer to drive their own cars or to take taxis except during rush hour. That is the everyday sentiment of Koreans.

Some also believe that you are what you drive. If transport measures are drawn up without considering these sentiments, they are just impractical theories. Another example is Seoul’s plan to impose traffic congestion fees on cars that enter large buildings such as department stores. But the city government decided to postpone implementation of the fees because of public controversy. It was also a measure that ignored widespread public sentiment.

Shortly after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Professor Cho Ho-yun at SungKongHoe University wrote an address to progressive forces. The new administration would likely be conservative and appeal to the people’s desires and preferences, not one that would wield a physical dictatorship, he wrote. He advised that progressive forces try to win ordinary citizens’ support, instead of trying to earn a political victory.

After three months in office, the new administration confessed that it failed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Because of this failure, the administration has likely lost the people’s support. The crisis over mad cow disease is a result of overlooking the people’s sensitive feelings about food.

The writer is a deputy culture and sport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g-hee [shya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