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한마디] 뉴타운 추가 급등 어려워 … 주변 지역을 노려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0면

부동산 시장에 ‘강북 돌풍’이 거세다. 지난 몇 년간 ‘강남·북 양극화’가 극심했다면 올 들어서는 반대로 ‘북고남저’ 현상이 뚜렷하다. ‘뉴타운’ 등의 개발 기대에 강북은 오르고, 세금 부담이 커진 강남은 떨어지면서 지역 간 가격차도 줄어드는 형국이다. 강북의 강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을까.

하나은행 PB본부 조창희(사진) 부동산팀장은 “뉴타운 지역의 추가 급등은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눈에 띄게 주거여건이 좋아지지 않은 반면 개발에 따른 기대치는 상당 부분 가격에 반영돼 있다는 분석이다.

실수요자라면 시선을 더 넓혀보길 권했다. 그는 “뉴타운 개발은 인근지역에도 영향을 준다”며 “실수요자라면 뉴타운 지역만 고집하기보다는 뉴타운 주변지역을 선택하는 것도 대안”이라고 말했다.

강북 지역에 투자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뭘까. 조 팀장은 무엇보다 “특정 개발호재에 휘둘리지 말라”고 강조했다. 뉴타운·지하철 9호선·경전철 등 사실상 서울 내에는 호재가 없는 지역이 없다. 이런 호재들에 휩쓸리다간 오히려 길을 잃기 십상이란 설명이다.

조 팀장은 “큰 그림을 보라”고 주문했다. 그는 “현재의 도시개발 논리에는 강남·북의 격차를 줄인다는 목적도 있지만, 그보다는 서울을 선진도시로 탈바꿈시켜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가 더 크다”고 지적했다. 서울의 주거정책이 1970~80년대의 물량공급 위주에서 문화도시 건설로 방향을 틀고 있고, 이것이 ‘U턴 프로젝트’ ‘한강 르네상스’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현재의 뉴타운 계획도 잘 살펴보면 서울시가 도시기본계획에서 언급한 도심과 부도심, 지역·지구 중심 등을 바탕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예컨대 부도심으로 관리되는 용산, 상암·수색, 청량리·왕십리, 영동 지역과 전략육성지인 마곡·문정 지역의 변화가 클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민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