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 이력 추적제’ 앞당겨 시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전북도는 소비자들이 수입 쇠고기를 구별하고 한우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쇠고기 이력 추적제’를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실시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력 추적제는 소의 출생부터 사육·양도·양수·도축까지 유통 전 과정을 전산에 등록해 소비자에게 공개하는 것이다. 송아지 때 품종과 생년월일·생산자 등에 대한 정보를 귀 표에 담아 사육하며, 이는 도축장에서 포장지의 바코드로 전환된다.

이 사업은 정부가 2004년부터 시범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소 및 쇠고기 이력 추적에 관한 법률’ 이 마련됨에 따라 12월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된다.

전북도의 경우 ‘참예우’ ‘장수 한우’ ‘총체보리 한우’ 등 12만여마리를 대상으로 4년간 시범적으로 운영해 왔다. 전북도는 도내에서 사육하는 한우·육우 등 모든 소 25만9000마리에 대한 이력 추적 시스템이 갖춰짐에 따라 다른 시·도보다 7개월 앞당겨 이달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또 소비자가 쇠고기의 이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익산·군산 등의 9개 축산물 작업장, 전주를 비롯한 도내 45개 한우 전문판매점 등에 관련 장비를 설치하기로 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수입 쇠고기가 한우로 둔갑하는 것을 막고, 우리 땅에서 기른 신토불이 쇠고기의 안전함을 널리 알리기 위해 이력 추적제를 서둘러 시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