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평가>법학과 평가-분석방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미국 법과대학협의회나 변호사협회는 교수 연구지원비.교수 1인당 학생수.학생수준.교수진.도서관시설.학술지의 저명도.다양한 교과목등에 관한 확고한 기준을 갖고 법학교육의 질을 따진다.
이에 반해 교양교육과 법조인 후보 양성이라는 이중목적을 가진우리 법학교육엔 그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만한 합리적 기준에대한 합의가 없다.
이 때문에 中央日報의 법학과 평가는 교수와 법조인들의 자문을거쳐 10개의 지표를 선정,지표별 비교순위만을 냈다.
선정된 지표는▲교수 1인당 학생수▲94년 입학생 수능평균점수▲졸업생 취업률▲교수 1인당 국내학술지 게재 논문수및 단행본수▲사법시험 합격률 외에 전국의 법학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교수▲학생▲교육여건 수준,판사.검사.변호사등 법조인 들을 대상으로 한▲실무능력▲인성에 대한 평판도조사 등이다.
논문은 전국 규모의 법학관련 학회학술지(14종)와 일반 법학지(3종)에 게재된 학술논문,단행본은 출판문화협회가 발간한 출판연감에 실린 사회과학분야중 법학관련 저서를 집계했다.논문과 단행본 분석은 논문의 경우 1백%,단행본중 역.편 서및 2인공저는 1백%,단독저서는 2백%의 비중을 두어 계산했다.
취업률은 95년 2월 졸업자의 4월1일 현재 취업현황을 사용했다.사법시험 합격자수는 최근 5년(90~94년)간 사법시험에합격,사법연수원을 거친 연수생의 수를 기준으로 했다.
평판도조사는 전국 대학교수 1백3명과 법조인 1백1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