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지역정보불균형 해소 큰기여-위성방송의 파급효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최근 세계 각국의 국가발전전략이 「세계화」와 「지역화」라는 2개의 축을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그 전략적 수단으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뉴미디어가 바로 위성이다.
우리의 독자적인 위성을 이용한 위성방송은 국민이 누리는 정보의 선택폭을 넓히고 그에 따른 다양한 정보욕구를 충족시키는데 기여함은 물론 궁극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국민문화의식의 세계화」를 본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계기 를 마련할 것이다.위성방송은 지상파방송의 난시청지역과 케이블TV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지역까지 포함,전국에 다양한 방송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간 정보의 불균등현상 및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국민통합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다.나아가 통일시대에 대비,주변국의해외동포 및 북한동포에게도 방송전달이 가능해져 민족의 동질성 회복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외국 위성방송의 무차별적 국내침투에 대해 능동적인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도 그 의의가 크다.
위성방송은 우리의 고유한 문화의식의 일체성을 유지.발전시켜 세계화에 대응되는 개념으로의 「지역화」에도 공헌할 것이다.
위성방송은 국내 방송.영상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에도 획기적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위성방송시대의 개막은 차별화된 방송.영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미디어 창구의 대폭 확대를 의미한다.이는 국내 방송.영상산업체의 저변확대를 통한 방송.영상산업의 역량강화와 현재 열악한 국내 영상소프트 제작환경을 일대 쇄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또 위성방송을 통해 축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미래형 뉴미디어 서비스 및 기술개발에 미치는산업적 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정보화 측면에서도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추진중인 초고속정보통신 기반구축에 있어 광케이블망 뿐만 아니라 위성방송망이 기간망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정보통신기반의 조기구축에 따른 선진국 조기진입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사회.문화.경제적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지금이 대다수의국민이 이용하는 「공공재(公共財)」 또는 국민이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기본재(基本財)」로서 위성방송을 조기 활성화하는 정책수립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하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