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어린이책] 로봇에 동생 낳아달라 해볼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수박씨
최명란 시, 김동수 그림,
창비,
104쪽, 8500원,
초등생 이상

일상에서 건져낸 동시 64편을 엮었다. 1963년생 시인이 나이를 잊고 찾아낸 동심의 세계가 참 재미있다. “친구랑 싸웠다/졌다/엄마한테 와락/할머니한테 와락” (‘와락’)처럼 아이의 심정을 간결하게 압축해 옮겨 놓았다.

시 속에는 엉뚱하고 천진한 아이의 목소리가 생생하다. 엄마가 아픈 날 약을 사러 갔다 온 에피소드가 담긴 ‘나는 119’의 한 구절. “엄마 앞에 약봉지를 든 채로/나는 쓰러졌다/가물가물 쓰러진 채 생각해 보니/내가 너무 효자였다” 스스로를 효자라니, 웃음이 절로 난다.

또 “비빔밥 그릇은/부끄럼이 참 많아요/밥을 다 먹고 나도/얼굴이 빨개요”(‘부끄럼’)나 “자꾸 기침이 나서/병원에서 엑스레이를 찍었다/나는 해골을 보았다/기침은 못 보고/유령만 보았다”(‘엑스레이’) 등의 상상력도 기발하다.

글감은 아이의 주변을 둘러싼 일상이다. 엄마·아빠·할머니·할아버지 등 가족 골고루 등장했다. 특히 동생은 단골 소재다. “엄마가 동생을/낳아 주지 않으면/로봇에게 부탁해야지”(‘동생을 더 갖고 싶어’), “동생이 모기한테/눈꺼풀을 물렸다/처음으로 나에게/윙크를 한다”(‘윙크’), “아∼함/동생이 하품을 한다/입 안이/빨갛게 익은 수박 속 같다/충치는 까맣게 잘 익은 수박씨”(‘수박씨’) 등 동생의 일거수일투족을 얘깃거리로 삼았다.

시선은 시종일관 따뜻하다. 알은 품은 어미닭을 보고는 “쫄쫄 굶으며”에 초점을 맞췄고, 제사상에 놓인 떡을 몰래 집어 먹는 동생을 그리면서는 “그래도 조상님께서는/아무런 꾸중도 안 하십니다”라며 안도의 숨을 쉰다.

모든 시에 연 구분이 없다는 점도 특징이다. 후루룩 단숨에 읽힌다.  

이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