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한민족철학자대회-주제별 3개논문 요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6면

제2회 「한민족 철학자대회 95」(대회장 서울대 철학과 김여수교수)가 국내외 철학자 2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17일부터 사흘간 연세대 1백주년기념관에서 열렸다.「인간다운 삶과 철학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대회에서 참 석자들은 인간다운 삶과 관련해 제기되는 「민족문화」「과학기술」「미래의 가치」등 3개 소주제별로 분과를 이뤄 그에대한 철학적 반성과 대안창출을 시도했다.각 분과위에서 발표됐던 주요 논문과 토론 내용을 소개한다.
[편집자註] 세계화를 서양화,세계문화를 서양문화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그러나 세계문화가 곧 서양문화일 수는 없다.세계문화의 특징은 「보편」이며,각 민족문화를 하나로 끌어안는 「포용성」이라 할 수 있다.그러나 지금 사용하고 있는 「세계」란 개념은 특수를 희생하고 특수와 모순을 일으키는 「이성-합리-보편」,다시말해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질서를 요구하는 보편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이와같은 특수와 보편의 모순을 넘어서기 위해 새로운 개념을 개발해야 한다.그렇다면 「세계」라는 개념 대신 각 민족의 문화가 주체성을 가지고 세계문화의 핵노릇을 할 수 있는 「지구촌」개념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민족문화와 세계문화가 융합가능한 지구촌개념은 여러 논리로 설명될 수 있으나 노장사상.화엄불교.유교의 위기지학(爲己之學)등과 같은 동양사상에서 보다 잘 설명되고 있다.화엄불교에서 「별상(別相)-총상(總相)」의 관계와,동양철학에서 근 본구조를 가리키는 체(體)와 그것의 구체적 모습을 가리키는 용(用)의 결합인 「체용(體用)」개념이 그것이다.
요컨대 지구촌 개념이란 민족문화와 세계문화가 공존공생하는 관계로 엇물려 있다는 전제아래 성립되는 개념이다.조금 더 적극적으로 표현하면 민족문화가 갖는 고유한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게 할 경우 그것이 곧 보편적인 세계문화가 될 수 있 다는 것이다.그러나 힘의 논리에 의해 각 민족문화를 파괴하는 보편성은 「문화적 패권주의」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따라서 생명현상으로 성장.발전.변화하는 「개체」야말로 이성.합리.보편 이전의 개념이며 이들은 개체로부터 생겨난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