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현장 이 문제] 부산역 연계 교통망 부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다음달 1일 경부고속철도 개통에 대비한 부산지역의 준비가 미흡한 실정이다. 철도 건널목의 지하통로 설치가 늦어 안전사고 위협이 되고 있다. 교통량이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되는 부산역 일대에 대한 교통대책도 마련되지 않았다. 경남지역 주민들은 "고속철 혜택을 받게 해달라"며 부산역을 연결하는 리무진 버스운행을 요구하고 있다.

◆ 건널목 사업 부진=철도청과 부산시는 부산~대구 기존 경부선로의 건널목 30군데에 보행자.차량 통행이 가능한 지하통로 사업을 벌이고 있다. 안전.감전 사고를 막고 교통체증도 해소하자는 목적이다.

부산은 ▶북구 구포 ▶부산진구 개금.가야.철도기지창 입구 ▶동구 부산진시장 등 5곳의 건널목이 대상이다.

하지만 지난달 완공된 구포를 제외한 나머지 건널목은 아직 착공조차 못했다.

부산시는 "지난해 하반기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었으나 도시계획시설 결정과 예산 확보가 늦어 차질을 빚고있다"고 밝혔다. 건널목 지화화 공사는 1년 이상 지연될 전망이다.

◆ 교통대책 '갑갑'=교통개발연구원에 따르면 하루 4만5000명인 부산역 승객은 고속철도 개통이후 8만8000명으로 늘어난다.

부산역 앞 중앙로 교통량은 시간당 4255대에서 5178대, 충장로는 3579대에서 4276대로 증가한다. 그러나 이에 대비한 소통대책은 미흡하다.

교통량.유동 인구를 분산시킬 부산역 선상 주차장 공사는 차질을 빚고 있다. 철도청은 역광장 주차장을 폐쇄하고 역사노선 위에 선상(線上) 주차장(245대)공사를 진행 중이다.

주차장엔 차량을 분산시킬 중앙로~충장로를 잇는 고가도로도 설치됐다.

그러나 충장로 진입램프가 보상문제 해결이 늦어 착공이 지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선상 주차장은 고속철이 개통돼도 제기능을 못할 전망이다. 부산역 관계자는 "빠른 시일 내 착공해 6월께 완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불법 주.정차가 심한 부산역 이면 도로에 대한 정비계획도 마련되지 않고 있다. 부산시는 문제가 생길 경우 노상 주차장을 없애거나 이면 도로를 확대한다는 입장이다.

◆ 경남주민 불만=진해.김해.양산 시민들은 부산역까지 연결교통편을 요구하고 있다. 주민들은 "밀양역을 이용할 수 있지만 부산역에 비해 가기가 불편하고 열차가 하루 8회밖에 서지 않아 이용에 어려움이 많다"며 "부산역까지 운행하는 리무진 버스를 신설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경남도는 부산시와 관련 운송업계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리무진 버스 신설에 난색을 보이고 있다. 대신 경남도내 밀양역행 시외버스 노선을 증설할 방침이다.

김관종 기자
사진=송봉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