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Save Earth Save Us] 기업, 해외에 나무 심는 까닭은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3면

선진국들이 개발도상국에 나무를 심어 온실가스 감축을 인정받으려는 경쟁을 벌이고 있다. 기후온난화 방지를 위한 교토의정서에 따라 올해부터 선진국들이 온실가스 의무감축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2013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 대상국이 될 전망이다. 국내 기업도 해외 조림에 눈을 돌리고 있다. 나무가 온실가스를 흡수한 양만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것을 인정받는다.

◇국제 경쟁 불붙었다=올 2월 베트남 정부와 일본국제협력기구(JAICA), 혼다-베트남사는 2011년까지 24억원을 들여 베트남 호아빈 지역 산지 309㏊에 나무를 심겠다고 밝혔다. 이탈리아와 스페인도 2006년 11월 중국 광시성의 4000㏊(1=1만) 산지에 조림사업을 시작했다. 이 같은 해외 조림사업은 최근 빠르게 늘어나 39건이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등록 대기 중이다. 박종호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과장은 “유럽 기업들은 세계은행(WB)을 끼고 동남아에서, 일본은 남미를 중심으로 수익성이 높은 지역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기업도 나선다=나무가 잘 자라는 열대지방은 국내에 나무를 심는 것보다 수익성도 높고 탄소 배출권 확보도 쉽다. 기업들이 해외 조림에 눈을 돌리고 있는 이유다. 3년 전부터 준비해 온 포스코의 오영출 해외조림팀 리더는 “인도네시아·칠레·우루과이 가운데 투자처를 이달 중 결정할 예정”이라며 “부지 확보가 걸려 있어 아직은 구체적인 지역을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한일시멘트와 항공업계에서도 남미나 동남아 지역에서 투자대상국을 물색하고 있다.

산림청도 올해부터 2017년까지 해외에 5만의 배출권 확보용 조림이 이뤄지도록 기업들에 566억원을 저리 융자키로 했다.

◇북한 나무심기 시급=이명박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환경부 업무보고 때 “북한 산림녹화와 관련한 점진적인 협력을 지금부터 해야 한다”며 “통일 대비도 되고 국토보전도 된다”고 지적했다. 통일부도 국내 기업의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해 200㏊ 규모의 대북 조림 시범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북한 황폐지 17만5000㏊ 조림에 30년간 8억2500만 달러(약 8000억원)를 투자하면 탄소배출권과 목재 확보로 4억 달러의 순익을 거둘 수 있다”는 보고서를 냈다. 북한도 조림 인건비와 숲에서 나오는 과일·버섯으로 소득을 높일 수 있고 수해도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이경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평가과장은 “나무가 빨리 자라는 열대에 비해 북한에서는 수익성이 떨어지지만 통일 후 국가 전체의 탄소흡수량이 늘어난다는 점에서 정부 차원의 장기적인 투자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찬수 기자

에너지 절약 효과를 나무로 계산하면(연간 기준)

▶2000cc 이상 승용차를 1500cc 이하로 바꾸면=소나무 870그루 심는 효과
▶1500~2000cc 승용차를 소형으로 바꾸면=소나무 312그루 심는 효과
▶컴퓨터 모니터·프린터·본체를 절전형으로 바꾸면=소나무 72그루 심는 효과
▶여름철 에어컨 사용 시 실내온도 26도에서 28도로 올리면=소나무 58그루 심는 효과
▶TV와 세탁기를 일반형에서 절전형으로 바꾸면=소나무 5그루 심는 효과

※어린 소나무가 자라면서 평생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을 기준으로 함
자료:국립산림과학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