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소비자보호원 許信行 신임원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소비자보호를 위해 미국 서부개척시대의 보안관이나 중국 혼란기의 포청천처럼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에서 일하겠습니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의 7대 원장으로 임명된 허신행(許信行)원장은 29일 오전 기자간담회를 갖고 취임포부를 이같이 밝혔다.
許원장은 『수입농산물이 밀려오고 있는 만큼 우리 식탁의 안전성을 지키는 일에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정부의 통관.검역절차를 마친 외국산 농산물이 식탁에 오르기전까지 엄격한 검사를 실시해 문제가 드러날 경우 신속히 대응토록 하겠다』 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농약살포장면이 국내에 비디오테이프로 공개돼 파문을 일으켰는데.
『수입농산물 검역은 어디까지나 정부의 업무에 속한다.
소보원으로서는 다만 유통과정을 철저히 추적해 안전성을 시험하고 검사하는 일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사료용 곡물에 대해서는이미 시중에서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해 농약잔류량을 검사중이고,하반기중에는 과일에까지 조사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농산물을 생산하는 외국현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해 농약살포여부를 가려내고 수송과정에 대한 추적조사도 병행할 생각이다.
』 -예산이나 인력이 뒷받침돼야 할텐데.
『당장 실현하기는 곤란하지만 한국무역진흥공사(KOTRA)를 비롯해 대사관에 파견된 농무관이나 국제농업개발원 해외지부 등의협조를 받아 해외현지정보를 수집하는데 노력하겠다.미국의 경우 수송.포장.저장과정보다 생산현지에 대한 사전조사 와 검사를 더중요시하고 있다.우리도 유통과정뿐 아니라 생산현장도 챙겨야 할때다.』 -지자제(地自制)시대를 맞아 소비자보호 업무도 달라져야 할텐데.
『소비자상담의 90%이상이 서울과 수도권에 몰려있어 지방소비자에 대한 보호업무가 소홀한게 사실이다.중앙정부.지자체와 협의해 소보원업무를 유기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 〈李鍾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