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점검>한국통신사태 원인과 전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한국통신이 시내.시외.국제.데이터.위성.비상계획실등 부문별로마련된 비상대책을 종합한「비상사태대비계획」에 따르면 우선 관리대상 제1순위 시설로 국가 안보.재해.민방위경보망등이 포함됐다. 정재진(丁在鎭)통신망관리국장은『언론기관 및 소방.전기.가스.기상통신과 주한 외국공관 및 국제연합기관 통신시설은 금융업체및 증권업체 전산망과 함께 제2순위 관리대상』이라고 밝혔다.제3순위 시설은 방위산업체 통신과 정부투자기관 및 의료기관 통신시설로 돼 있다.일반 가입자들의 전화서비스는 제4순위 기타 시설로 분류돼 파업에 따른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전화통화등이상당히어려운 상황이 될 전망이다.우선 114전화안내와 115전보접수회선이 축소되며 국제 및 시외 통화가 직접자동통신(DDD)으로 전환된다.
전화 가설 및 이동,고장수리등 일반가입자들의 민원업무도 중단된다. 한국통신은 또 국제통신망 두절에 대비,파업시 해외 주관청 및 국제통신사업자와 인텔새트.인마르새트.국제전기통신연합(ITU)등 국제기구등에 사태 통보 및 서비스 제한등과 관련된 협조요청을 보내게 된다.통신 두절 발생시에는 비상통화.관 용(官用)통화에 이어 업무.보도통화를 우선 소통시킨다는 것.특히 이경우 KBS.MBC.SBS등 공중파방송을 제외한 기타 중계서비스와 국제 탁송업무는 대폭 제한된다.
박운서(朴雲緖)통상산업부 차관은 22일 『한국통신이 파업에 돌입할 경우한국전력과 삼성전자.대우통신.LG통신.한화정밀등 통신기기 제작사의 인력 1천7백50명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朴차관은 이날 오전 기자간담회에서『한통 노조의 파업에 대비,이같은 인력지원 계획을 마련했다』면서 이들은▲한전 전기통신부문 인력 1천5백명▲삼성전자등 4개 통신기기 업체의 교환수및 기술인력 2백50명이라고 덧붙였다.
〈李鎔宅.李元浩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