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임용 불공정사레 "敎公任모임"서 발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정실인사.금품수수 등으로 얼룩진 교수임용 부조리를 바로잡기위해 교수들이 내부감시자(Whistle blower)로 나섭시다.』 전국 70여개대 2백20명의 교수들은 20일 서울대 교수회관에서 열린「교수공정임용을 위한 모임」(회장 梁承圭.서울대법대교수)창립총회에서 교수임용과 관련된 비리 사례 24건을 공개하고 대학사회의 부패를 척결하는데 앞장설 것을 결의했 다.
올해 2월초부터 개설한 PC통신「교수공정임용을 위한 연락망」을 통해 수집된 교수 불공정 임용 사례는▲금전거래▲친인척관계,학연.지연관계▲정.재계인사로부터의 청탁과 그 반대급부 요구등 다양하다.
◇총장등 상부의 비리=명문 K대 경영학과는 총장이 학장이나 학과와 사전협의도 없이 독단적으로 학과의 추천순위를 뒤바꿔 임용했다. 또 이 학교 경제학과는 학과교수회의를 통해 노동경제학분야에서 교수를 뽑기로 결정하고도 총장의 압력으로 환경경제학 분야의 후보를 임용했다.
◇학과단위의 비리=K대 지방캠퍼스 영문과는 국내명문대를 나오고 미국 명문C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보를 탈락시키기 위해학과교수들이 평가서의 대부분 항목에 낙제점을 줘 3위후보에도 들지 못하게 한 경우도 있다.
◇대우전임 수법=C신학대 신학과.음악과는 채용공고에 내지도 않은 분야에 박사학위도 없는 4명을 대우전임강사로 채용한뒤 신규임용때 정식발령했다.
H대 지방캠퍼스 법학과도 총동창회에서 일한 대학출신자를 총동창회의 압력으로 대우전임교수로 발령낸뒤 정당한 절차없이 신규임용했다. 이밖에 본교출신의 제자를 채용하기 위해 심사위원 선정에 정실을 개입시키거나 채용공고때 특정인만 응모할수 있도록 전공 등의 조건을 세부적으로 지정하는 수법을 쓰기도 한다.
〈康弘俊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