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여행>浩然之氣-양심에 부끄러움이 없는 진정한 용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0면

나이 마흔이면 인생에 대해 어느 정도 알 수 있게 된다.공자의 경우 나이 마흔이 돼서야 비로소 남의 유혹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았다고 한다(不惑).
비슷한 이야기를 맹자도 했다.「부동심(不動心.마음이 흔들리지않는 상태)」이 그것이다.한번은 제자 공손추(公孫丑)가 물었다. 『선생님께서 제(齊)의 재상에 앉게 되셨다면 마음이 흔들리지 않았을까요?』 하지만 맹자의 대답은 단호했다.
『나는 나이 마흔이 되고부터 마음이 흔들리지 않았느니라.』 그 비결은 다름아닌「용기」에 있다.그런데 용기라면 우리는 흔히물질적인 완력(腕力)을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맹자가 말하는 진정한 용기란 완력이나 용맹에서 우러나오는 것이 아니라 인격의 수양(修養)에서 가능하다.다시 말해 혈기(血氣)의 용기보다는 도덕(道德)의 용기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氣)를 잘 길러야 하는데 맹자는 특히 그것을 호연지기(浩然之氣)라고 했다.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행동하는 데 있어 양심에 부끄러움이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인간이 그런 상태가 되었을 때 비로소 비도덕적인 것을 배격하고 도의를 실천할 수 있는 힘이 나오게 되는데 그것이야 말로「진정한 용기」라는 것이다.
그렇다.「진정한 용기」란 도덕적인 양심을 뜻하며 그것은 浩然之氣를 기름으로써 가능하다.물론 꾸준한 인격수양이 뒷받침돼야 하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