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글로벌 외교 “한국 매력, 세계로 내보낼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취임사에서 드러난 이명박 외교의 방향은 ‘글로벌 외교’다. 이 대통령은 “더 넓은 시야, 더 능동적 자세로 국제사회와 더불어 함께하고 교류하는 글로벌 외교를 펼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변 4강에만 편중되지 않고 지구촌 구석구석으로 외교의 지평을 넓히겠다는 포부다.

구체적으로는 ▶유엔 평화유지군(PKO) 적극 참여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를 뜻하는 공적개발원조(ODA) 확대와 함께 “문화 외교에도 역점을 두고 한국의 매력을 세계로 내보내겠다”고 밝혔다. 세계 10위권을 눈앞에 둔 경제 규모에 걸맞게 한국의 ‘소프트파워’를 국제 사회에 전파하겠다는 비전이다.

이와 함께 자원과 에너지의 안정적 확보에도 힘쓸 것이라고 밝혀 ‘이념’보다는 ‘실리’에 무게 중심을 두는 ‘실용외교’의 구상도 함께 피력했다. 미래지향적 한·미 동맹의 발전·강화와 일본·중국·러시아와의 협력 강화도 잊지 않았다.

대선 과정에서 밝힌 ‘MB 독트린’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한·미·일 공조를 강화하겠다는 부분이 빠진 것이다. 또 “한·미 동맹을 최우선시하겠다”는 식의 표현도 들어가지 않았다. 이는 앞으로도 계속 협력 관계를 유지해야 할 중국·러시아와의 관계를 배려하는 동시에 당선 후 특사 외교 등을 통해 미국과 일본에는 충분히 신뢰감을 심어주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의 대북 정책은 “이념의 잣대가 아닌 실용의 잣대로 풀어가겠다”는 말로 요약된다. 10년 진보 정권에서 ‘우리 민족끼리’로 상징됐던 이념(민족) 대신 북한만 아니라 남한의 손익까지 따지는 경제 논리가 새 잣대가 될 것임을 예고했다.

그러면서 공을 북한에 넘겼다. 지난 대통령 취임식 때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특사 교환(김대중 전 대통령)과 같은 파격적인 제의나, 대북 화해·협력 정책 유지(노무현 전 대통령)를 천명했던 것과는 달리 북한에 선(先) 핵폐기·개혁 개방을 요구했다. 이렇게 나가야 북한 주민 소득을 3000달러로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그것도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돕겠다”고 말해 한·미 동맹과 남북 관계의 보조 맞추기를 예고했다. 단 이 대통령은 “어떻게 해야 7000만 국민을 잘살게 할지 남북 정상이 언제든지 만나 가슴을 열고 이야기해야 한다”며 3차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을 열어 놨다.

예영준·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