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이명박 정부의 첫 인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이명박 정부를 이끌어 갈 국무총리와 청와대 비서실장·수석들의 명단이 발표된 데 이어 내각의 면면도 드러났다. 아직 정부조직 개편안이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해 공식 발표는 없었지만, 당선인 측에서 비공식적으로 흘러나온 14개 부처 장관들의 명단은 사실상 확정된 것으로 봐도 무방할 것이다.

평가는 비교적 긍정적이다. 새 내각과 청와대 참모들의 면면을 보면 화려한 경력과 학력,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경제내각’이라고 할 정도로 시장경제를 중시하는 경제전문가들이 다수 포진했다. 경제부처 장관은 물론 총리와 교육과학부 장관도 경제전문가를 기용했다. 당선자가 경제를 중심에 놓고 국정운영을 할 것임을 예고한다. 또 청와대 외교안보수석과 외교부·통일부 장관 등 외교안보 라인도 한·미 동맹 복원과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의 의지를 엿보게 한다.

몇 가지 문제점도 눈에 띈다. 청와대와 내각에 교수 출신이 지나치게 많다. 군사정권은 취약한 정통성과 지지기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교수를 많이 기용했다고 하지만, 지금 와서 굳이 그래야 하는지 의아하다. 역대 정권에서 기용한 교수 출신 장관과 수석 중 성공했다고 꼽을 수 있는 인물이 과연 얼마나 되는지 돌이켜볼 필요가 있다. 각료 내정자의 절반이 미국 석·박사 출신이며, 청와대 수석 내정자 7명 중 6명이 미국 박사 출신이란 점도 고개를 갸웃하게 한다. 공부를 많이 했다는 것이야 좋은 일이지만, 과다한 미국 편중현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우려된다.

인사가 있을 때마다 특정지역·특정대학·특정교회와 당선자의 과거 인연이 거론되는 것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대통령은 지역과 학교, 종교에 대해 안배하는 지혜를 가져야 한다. 장관 내정자 14명 중 10명이 60대란 점에 대해서도 “국정의 안정을 꾀했다”는 평가와 “참신성이 부족했다”는 아쉬움이 함께 나온다.

잘한 인사라는 평가를 받기는 쉽지 않다. 모든 사람의 마음에 들 수는 없기 때문이다. 장관 기용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앞으로 있을 차관과 청와대 비서관 인사에서 보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