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초등열려라책] 전통 음식의 우수성은 뭘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15면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엄지손톱 크기의 고깔떡, 병아리색의 호박편, 꽃을 접은 듯한 볼록떡. [중앙포토]

밥 힘으로 살아온 우리 민족 (김아리, 아이세움)

 여주산병·찹쌀구비·주악·막편·부꾸미·곶감화전·쑥굴레·잣구리·쑥버무리…. 우리 조상들이 즐겨 먹던 떡의 종류입니다. 요즘도 절기에 따라 만들어 먹는 떡이 있습니다. 설날 때는 가래떡, 단오에는 수리취떡, 추석엔 송편 등등.

이 책에서 전통 음식과 관련된 이야기를 읽다 보면 재미있는 게 많습니다. 삼국을 통일한 태종 무열왕은 하루에 쌀 여섯 말, 꿩 열 마리를 먹는 대식가였다네요. 고려시대에는 약과가 유행해 찹쌀과 참기름이 동나기도 했대요. 봄이면 진달래 화전을 해먹고, 겨울엔 팥죽을 쑤어 잡귀를 막았지요. 아시나요? 고추장 떡볶이의 역사가 50년이 채 안 됐다는 거.

밥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루도 빠짐 없이 먹는 음식입니다. 끼니마다 밥을 먹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일본뿐이라고 해요. 우리 민족은 살아가는 힘을 밥에서 얻었던 겁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밥 먹었어?’라는 질문은 ‘식사했어?’라는 말과 같습니다. 이때 ‘아니, 국수 먹었어’라고 대답하는 사람은 우리 문화를 잘 모르는 사람이에요.

밥 위에 콩나물·숙주나물·고사리·도라지·쇠고기 볶음·달걀부침·청포묵·다시마 튀김 등을 얹고 양념장으로 비벼 먹는 음식도 있습니다. 오늘날 비행기 기내식으로도 제공되는 비빔밥입니다. 비빔밥은 제사가 끝나고 제사 음식들을 큰 그릇에 한데 모아 비벼 나눠 먹던 데서 생겨났다고 합니다. 영양도 골고루 섭취할 수 있어 외국인들도 좋아하는 음식이지요.

쌀로 만든 음식에는 떡이 있습니다. 특히 설날에는 가래떡을 썰어 떡국을 끓여먹습니다. 긴 가래떡처럼 길게, 오래오래 살라는 뜻이지요. 떡국을 한 그릇 먹어야 나이를 한 살 먹은 것으로 치는 풍습도 있습니다. 설날 우리 집에서는 어떤 떡국을 어떤 국물로 끓였는지 살펴보세요. 설날에는 ‘세찬’이라고 불리는 빈대떡·전·다식·강정 등 여러 음식도 함께 준비해 손님을 대접하기도 합니다.

2월 21일은 음력으로 정월 대보름입니다. 이날은 아침 일찍 일어나 땅콩·잣과 같이 딱딱한 껍데기를 가진 열매를 이로 깨물어 먹는데 이것을 ‘부럼 깬다’고 합니다. 부럼을 깨면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과학적으로도 좋은 식물성 기름이 많은 열매를 먹으면 피부가 좋아지고 겨울을 건강하게 날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엿보입니다.

대보름날 오곡밥에 9개의 묵은 나물을 넣어 먹거나 약식을 해 먹는 것도 겨울철에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하는 한 방법입니다. 한 해 복을 비는 의미에서 ‘복쌈’을 먹으며, 또 여러 집의 밥을 얻어먹어야 좋다고 해 이집 저집으로 밥을 얻어먹으러 다니기도 합니다. 그러면서 우리 조상들은 이웃 간 정을 나누었던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 전통 음식 속에는 오천 년 우리 민족의 역사와 지혜가 고스란히 녹아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교과서 관련 단원

국어 4학년 1학기 셋째 마당, ‘배우는 즐거움’

국어 5학년 1학기 둘째 마당, ‘사실과 발견’

국어 6학년 1학기 둘째 마당, ‘알아 가는 기쁨’

사회 6학년 2학기 3.(1)단원, ‘세계 속의 대한민국’

◇생각해 보세요

‘신토불이(身土不二)’라는 말이 있습니다. 몸과 땅은 하나라는 뜻으로 우리 땅에서 나온 음식이 우리 몸에 가장 좋다는 의미입니다. 드라마 ‘대장금’이나 영화 ‘식객’의 내용을 떠올리며 생각을 이야기해 봅시다.

1. 명절 때 먹는 전통 음식으로 무엇이 있나요? 그 음식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봅시다.

2. 음식에 숨어 있는 옛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3. 우리 음식을 만들려고 합니다. 요리법을 그림과 글로 설명해 주세요.

4. 우리 음식의 우수한 점은 무엇인가요?

5. 나는 우리 음식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갖고 있나요?

 ◇부모님 Tip

과학·역사·사회·문화 등 정보를 알려주는 책을 읽을 때는 독서 후 알게 된 점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을 읽기 전 제목과 그림을 보며 자녀가 알고 있는 것을 자유롭게 말하도록 합니다. 이때 답을 요구하지 말고 자녀가 배경지식을 충분히 꺼낼 수 있도록 합니다. 이후 자녀가 책을 통해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말해 보도록 합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