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法 타결 결산-民主,선거機先 잡았다 단결력에 흡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민주당은 당초부터 6월 지방선거를 김영삼(金泳三)대통령에 대한 중간평가로 규정했다.
지방선거의 여세를 몰아 다음 대권까지 연결시키겠다는 의도였다. 이번 선거법 협상에서 민주당은 자신이 내놓은「반반론(半半論)」이 관철됨으로써 기선을 잡았다고 자평하고 있다.
이같은 평가는 석달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를 한결 수월하게 치를 수 있게 됐다는 자신감에서 출발한다.
여당에 비해 조직이 취약한 야당으로선 선거를 정당대결구도 속에서 치르는게 가장 편하다.그러나 민자당이 생활정치.주민자치를내걸고 기초선거 공천배제를 주장해옴에 따라 이같은 전략 구상과틀은 수정돼야할 위험에 처했었다.
민주당은 한달간의 대여투쟁을 통해 중간평가 선거구도를 유지할수 있게 됐다고 생각하고 있다.
민주당은 처음부터 민자당의 기초선거 공천배제 제의가 선거연기론의 연장선에 있었다고 보았다.여론의 비판을 감수하고 정계를 은퇴한 김대중(金大中)亞太평화재단이사장이 팔을 걷고 나선 것도그때문이다.
여권의 분열과는 대조적으로 9인9색의 당내 계파갈등이 이번에드러나지 않았다는 것도 소득이다.이기택(李基澤)총재는 총재 취임후 첫번째 대여투쟁을 일사불란하게 주도해 냈다는데 만족한다.
막판 연대투쟁 결의를 통해 신민당.자민련과의 범야권 공조 가능성을 발견한 것도 지방선거를 앞두고는 호재(好材)거리다.민주당은 앞으로 충청권.영남권등 취약지역에서 이들과 연합공천등을 통해 협력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민주당은 후유증 치유에 시달릴 민자당보다 한발 앞서 지방선거준비에 돌입하게 됐다.
15일 총재단회의에서는 李총재를 위원장으로 하는 지방선거대책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49개 사고지구당에 대한 정비작업도 벌인다.본격적인 지방선거체제에 나선 것이다.
이번 공방의 와중에 이미 김제.성남.목포등의 지역에서는 기초선거 후보자를 공천했다.시흥.군포시지구당은 15일 3백50여명의 대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시장후보를 경선으로 뽑았다.민주당은이같은 행사를 각 지구당에서 연달아 개최하며 선 거 분위기를 달궈 나갈 방침이다.
물론 민주당이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않다.당장 사고지구당 정비를 놓고 계파갈등이 재연될 소지도 높다.동교동계와 李총재의한시적 공조체제가 얼마나 유지될지도 불안하다.그러나 당장은 승리감에 휩싸인게 민주당의 모습이다.
〈朴承熙기자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