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당선인 “할 수 있다 … 못해낼 일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14일 “이명박 정부는 실용주의 정부”라며 “국익에 도움이 되고, 경제 살리기에 도움이 된다면 어디라도 달려가 일을 해내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 당선인은 삼청동 대통령직 인수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이전 정부가 한 일이라도 계속 추진해야 할 일들은 제대로 챙겨서 시행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총리가 보조 역할이 아니라 독자적인 업무를 가지고 국내외에서 일하게 될 것” “총리가 앞으로 세계 시장을 다니며 자원외교와 여러 분야에서 할 역할이 많다”고 말해 ‘자원외교 총리’ 구상을 처음 공개했다.

 이 당선인의 기자회견은 한마디로 ‘50분간에 걸친 실용정부 설명회’를 방불케 했다. 새 정부 총리관에서부터 “군살을 빼야 한다”는 정부조직 개편에 이르기까지 그가 언급한 모든 테마에서 ‘실용’과 ‘일하는 정부’ 컨셉트를 드러내 보였다.

 그 때문에 기자회견 내내 ‘변화’ ‘자율’ ‘경제’란 용어가 등장했다. 이명박 시대 국정 운영 방향을 규정하는 키워드들인 셈이다. 이 당선인은 또 회견문에서 “긍정” “할 수 있다” “우리가 못 해낼 일 없다”는 표현을 11차례나 사용했다.

 ◆변화=이 당선인은 “변화는 정부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국민에게 변화를 요구하기 전에 공직 사회가 먼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알뜰하고 유능한 정부를 만드는 게 이명박 정부의 가장 중요한 국정 과제”라며 “민간이 더 잘할 수 있는 일은 민간에게 돌려주고, 지방이 맡는 것이 좋은 일들은 지방이 맡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치도 예외일 수 없다”며 4월 총선 공천의 중요한 기준으로 변화를 강조했다.

 ◆자율=대학입시·교육 분야에서 특히 ‘자율의 힘’이 강조됐다. 그는 “대학에 입시 자율권을 주더라도 대학이 본고사는 절대 하지 않을 것이며 학생들의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투자를 가로막는 규제부터 우선 정비하겠다. 규제 개혁은 구호가 아니라 실천이 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제=7% 경제성장률과 관련해 이 당선인은 “금년에 당장 달성할 수 없지만 6%는 달성할 수 있지 않느냐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했으며, 종합부동산세 손질 시기에 대해선 “부동산 경기를 파악해 가며 금년 하반기에 검토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반도 대운하에 대해 이 당선인은 “100% 민자사업”이라며 “국내외 투자자들의 제안이 들어오면 정부는 사업 타당성이나 환경영향평가 등 완벽한 절차를 거쳐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