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코노 피플] 미래 에너지포럼 창립 최영돈 초대 상임대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과 수급 구조 등은 아주 경직돼 있습니다. 에너지 관련 학자들이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고, 이익단체와 정부의 갈등을 푸는 중재자 역할도 해야 할 시점입니다."

에너지 전문가들이 결성한 '미래 에너지포럼'의 최영돈(54.고려대 교수)상임대표는 실타래처럼 얽힌 우리나라 에너지 문제의 해법을 찾기 위해 포럼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포럼 창립총회와 기념 심포지엄은 24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창립 준비에는 배순훈(KAIST).이재헌(한양대).전중환(포항공대).강병하(국민대)교수 등 20여명이 참여했다.

崔교수는 에너지 정책이 특정 계층만 참여한 가운데 결정됨으로써 문제를 일으킨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원전수거물관리시설(원전센터) 선정을 둘러싼 부안사태를 꼽았다. 정책 결정 과정에 정부와 학계.연구소.주민 등이 함께 참여했다면 이런 사태는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게 崔교수의 생각이다. 그가 중재자 역할을 강조한 것도 이 같은 배경에서다.

"미국 등 선진국은 에너지 수급 구조가 잘 짜여 있어 국제정세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중동에 문제만 발생하면 유가가 들먹이며 경제가 어려워지곤 합니다."

崔교수는 그 원인으로 석유와 원자력이 위주며, 수입선도 중동에 지난치게 의존하고 있는 경직된 에너지 수급 틀을 지적했다.

"석유 등의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량이나 환경오염 등에 따른 비용을 원가에 집어넣어야 합니다. 원자력 발전도 원전센터 건설 비용과 원자력발전소 해체 비용을 포함시켜야지요. 그렇게 하지 않고 단순히 가격만 계산하니까 한국의 에너지별 원가 순위가 선진국 계산과는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 같은 추가 비용은 나중에 결국 국민의 세금으로 메우게 된다는 것이다.

그는 "국제 정세와 에너지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부존 에너지 자원이 없어도 에너지 수급에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즉, 에너지 기술이나 이산화탄소 배출권 등을 에너지 생산국에 팔면 곧 에너지를 갖고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 崔교수는 포럼을 정기적으로 열 계획이다. 또 전문가들끼리 모이는 자리라는 벽도 허물겠다는 것이 崔교수의 구상이다.

박방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