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운서는 구르고 개그맨은 MC 보는 시대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0호 15면

온몸으로 부딪쳐 스티로폼 송판을 격파하고(실은 격파 못해서 좌절하고), 지압 깔판에서 닭싸움을 벌이는(실은 아파서 허둥거리는) 아나운서들을 보고 있었다.

사소한발견

멀쩡하고 똑똑하게 생긴 아나운서들이 허약한 구석을 보일 때 웃음이 났다. 반대로 놀라운 운동신경까지 보여줄 땐 ‘정말 팔방미인일세’ 하고 감탄했다. 그들을 노련하게 부추기는 진행자는 톱MC 개그맨 유재석이다.

SBS 예능프로그램 ‘일요일이 좋다-기적의 승부사’. 아나운서팀과 연예인팀이 게임 대결을 벌이는, 아나테이너(아나운서+엔터테이너)의 최선봉에 선 코너를 보며 1970~80년대 인기 프로그램 ‘명랑운동회’를 떠올렸다. 변웅전 아나운서가 진행했던 이 프로를 예로 들어 MBC 성경환 아나운서 국장은 “아나운서의 예능 진출은 원래 영역을 되찾는 것”이라고 말했지만,

권토중래에 나선 아나운서들은 진행자가 아니라 구르고 뛰는 선수 역할을 하고 있다. KBS ‘해피선데이-하이파이브’야 이렇게 된 지 한참 됐고, 최근 여자 아나운서가 대거 투입된 MBC ‘지피지기’도 마찬가지.

MBC 차세대 주자 오상진 아나운서가 진행하는 ‘환상의 짝꿍’ ‘일밤-경제야 놀자’를 봐도 말 잘하는 연예인들(김제동·김용만 등)을 보조하는 인상이 짙다.

아나운서들이 뉴스 앵커로 뜨는 경우가 드문 데다 스스로도 연예 스포트라이트를 원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아나테이너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하지만 그 웃음이 ‘아나운서의 굴욕’에서 비롯된다면 오래가기 힘들 듯. 반듯한 이미지가 뒤집힐 때 통쾌하지, 본래 이미지의 순도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출신의 특권’은 더 이상 없다.

혹시 연예인이 되기엔 끼가 부족해서 아나운서로 우회 진출을 생각 중인 분이 있으시다면, 지금 줄 서선 차례가 오기 힘들 거라고 일러주고 싶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