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남북경협-업계의 주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북한 진출을 모색하거나 간접교역을 하고 있는 국내기업들은 북핵문제 타결로 정부가 경협과 관련한 획기적인 조치를 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섬유업종을 중심으로 북한과 임가공무역을 해온 국내기업들은 품질관리 기술자등을 보내지 못해 물건을 받아볼 때까지는 제품이 주문대로 만들어지는지 가슴을 졸여왔다.
또 중국.홍콩등 제3국을 통한 간접무역방식 때문에 중국제품이북한산으로 둔갑해 국내에 들어오는 사례가 잇따라 피해를 보았다. 통관및 수송기간의 지연문제로 골치를 썩이기도 했다.
이같은 「반쪽경협」은 기업들이 독자적인 대북(對北)투자및 교역에 대한 재량권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빚어진 부작용이다.
따라서 재계는 기업인등의 자유스런 남북왕래를 보장하는 남북당국간의 합의가 조속히 이루어지고 교역방식도 간접무역에서 직교역체제로 전환돼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국내기업들이 가장 먼저 발을 디딜 가능성이 큰 나진-선봉지구의 경우 공장설립 전에 인프라 건설이 선행돼야 할 형편이어서 기업투자에 따른 정부의 지원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高允禧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