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3각관계' 형성한 이명박·이회창·박근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명박.이회창.박근혜는 분열과 경쟁 속에 세를 확산해 가고 있는 보수 진영의 트로이카다. 2007년 대선 정국에서 이들은 물고 물리는 삼각 애증관계를 맺어 왔다.

12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이회창 전 총재의 출마는 정도(正道)가 아니다"란 발표를 한 뒤 세 사람 사이에 이른바 '신(新) 삼각관계'가 형성됐다. 일단 '이명박+박근혜' 대 이회창의 대결 구도로 정리된 것이다.

장내의 이명박.이회창 두 사람은 13일 서로 총부리를 겨눴다.

이명박 후보가 "그렇지 않아도 정치가 신뢰가 없는데… (이회창 후보의 탈당으로) 정치 신뢰를 떨어뜨리게 돼 가슴이 아프다"(아침 신라호텔 행사)고 선제 공격하자, 이회창 후보는 "한나라당 후보는 국가 정체성의 측면에서 아주 부족하고 불안한 후보"(오후 대구 행사)라고 반격했다.

보수 진영 트로이카의 특이한 점은 경쟁하면서 장차 하나 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하나이면서 서로 견제한다는 것이다.

이런 대목도 있다. 이명박 후보가 "최고의 양식을 가지신 이회창 후보가 정권 교체를 위해 협력할 것이라 믿는다"며 이 후보의 출마 포기를 압박하자 이회창 후보는 "명예와 기득권을 버리고 출마한 이상 내 신념대로 간다. 그래서 성공할 것이다"고 응수했다.

이회창 후보는 출마 선언 전부터 '스페어 후보론'이 뒤따랐다.

대선 지지율 1, 2위 관계인 두 사람은 '현재 최대의 적'이 어느 한순간 '최대의 우군'으로 바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그렇기에 서로 총부리를 겨누면서 회복 불가능할 정도의 치명상을 날리는 건 회피하는 묘한 관계에 놓여 있는 셈이다.

보수 트로이카가 펼치는 수 싸움은 현재 대선 구도판을 좌지우지하고 있다. 이명박.이회창 두 후보의 지지율 합계가 60%를 넘는 2007년 대선의 '보수 확대 현상' 때문이다. 이른바 진보 정권 10년을 '잃어버린 10년'으로 규정한 세 사람의 논리가 먹히고 있는 것이다. 저류엔 12월 대선은 물론 내년 4월 총선까지 겨냥한 전략적 계산법도 없다고 할 수 없다.

이명박-박근혜의 관계는 '갈등'에서 '협조' 관계로 발전했다.

'이회창 출마 변수'를 막고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해 이명박 후보는 '박근혜 전 대표와의 동반자 선언'을 택했다. 대선 후 박 전 대표의 당권.공천권 지분을 인정한 것이다.

그러나 장외의 박 전 대표로선 이명박 후보가 집권할 경우 약속을 깨고 독식으로 돌아설 것을 대비해 안전장치를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박 전 대표 측에서 전폭적 지지 대신 "아직 선거일이 30여 일이나 남았는데…"라고 여운을 남기는 것도 좀 더 안전한 장치를 확보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회창-박근혜 관계는 일단 주춤하고 있다. 두 사람은 한때 이명박 후보의 '독주와 독선'에 대해 동병상련 관계에 있었지만 지지지역(영남.충남권)과 지지이념(안보형 보수)에서 겹치는 사이다.

내년 총선에서 각각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때 경쟁 관계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은 그래서 나온다. 두 사람은 '미래의 적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이회창 후보는 그러나 13일 기자간담회에서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박 전 대표가 그렇게 ('정도가 아니다'고) 언급한 것을 충분히 이해한다. 그 발언이 이명박 후보를 적극 지지하느냐는 해석하기 나름이다"라고 구애 발언을 계속했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