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통신망구축사업 한국 신속 진출해야-한국통신 전민주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21세기를 눈앞에 둔 지금 정보를 어떻게 수집.가공.처리하여신속하게 전달하는가가 사회발전의 척도로 꼽힌다.
통일을 감안할때 南北韓간에 불균형이 심한 분야가 한둘이 아니지만 그중에서도 통신분야는 상당한 격차를 보여 앞으로 통신분야의 협력이 절실히 요청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민족통일중앙협의회가 발행하는 월간지『통일』최근호는 이와 관련,한국통신 南北통신협력부장 全敏柱씨의「통신분야 협력사업 추진방안」에 관한 기고문을 실었다.다음은 그 요지.
통신망구축 협력사업은 北韓의 실정으로 보아 실현성이 높은 분야다. 그들이 경제난 해소를 위해 부분적인 대외개방을 모색하면서 개발대상지역의 사회간접자본 확충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北韓의 통신망구축에 南韓의 자본.기술이 참여함으로써 경제개발을 측면 지원하고 통신기술을 향상시켜 南北의 차별화된 기술체계를 단일화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또 앞으로 확장될 북한 통신시장에 외국자본.기술의 난립을 막기 위해서도 남한의 신속한 진입이 필요하다.
우선 남북간 통신용 기간 전송로의 공동구축사업을 실행할수 있다. 北韓의 현 통신상황은 우리의 70년대 수준이고 南韓에 보편화된 광통신.전자교환기술등이 도입되지 않았다.
따라서 통신통합이 된다해도 극히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실정이고 통신교류가 활성화되면 북한내 전송로 부족으로 신규건설및 증설사업이 뒤따라야 한다.
남북교통망 연결계획과 연계시켜 1단계로 판문점~평양간의 통신망 공동건설을 추진하고 이어 평양~신의주,평양~청진~나진에 이르는 통신망을 건설해 동서남북의 기간 전송로를 확보해야 한다.
한편 北韓의 통신기술체계는 舊蘇聯과 東歐圈의 영향으로 우리와다르며 평양을 중심으로 지방으로 분산되는 단순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통일전의 통신분야 교류.협력은 북한의 경제력을 회생시키고 남북 주민이 자주 접촉하는 기회를 제공해 통일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통일후 북한의 인구를 약 3천만명으로 추산할 경우 인구1백명당 50대 수준의 전화보급을 위해선 총 1천5백만회선의 전화시설이 필요하다.
이에 따른 소요재원도 수십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가 개발.생산하는 통신장비가 있는데도 북한에 외국산 장비로 통신망이 구축된다면 통일에 즈음해 기술.경제적 낭비를 초래할수도 있다.
[정리=兪英九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