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DMZ 내 GP 철수' 거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2007년 남북 정상회담을 끝낸 뒤 평양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노무현 대통령 내외와 남측 대표단(298명)의 차량 행렬. 노 대통령이 탄 전용차량을 비롯해 수십 대의 차량이 4일 밤 개성공단을 지나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남방한계선 통문으로 향하고 있다. 비무장지대의 칠흑 같은 어둠과 차량 불빛이 극명하게 대비된다. [파주=뉴시스]

노무현 대통령은 3일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서 비무장지대(DMZ) 내 전방초소(GP) 철수를 포함한 '평화지대' 방안을 제안했으나 김 위원장이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김장수 국방장관은 5일 평양 방문 결과를 설명하는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노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에게 DMZ의 평화적 이용 문제를 제기하자, 김 위원장은 'DMZ 문제는 아직은 속도가 빠르다. 아직은 때가 아니지 않느냐'고 답변했다"고 전했다. 그는 "노 대통령이 회담에서 GP 철수와 중화기 철수 등을 통한 (DMZ) 활용 방안을 거론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그동안 DMZ 평화적 이용 방안의 1단계로 군사시설인 GP와 병력을 단계적으로 철수하고, 2단계로 평화생태공원 조성 등을 통해 평화지대로 만드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김 위원장의 반대 이유에 대해 국방부 관계자는 "남북 화해.교류 분위기에 반발하는 북한 군부의 손을 들어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북한 군부는 2005년 8월 남북 장성급 회담에서 "DMZ 내에서 GP를 철수하자"는 남측의 제의를 거부했었다. 북한 군부는 'DMZ는 미국과 해결할 문제'라고 주장해 왔다. 1953년 7월 체결된 정전협정에는 DMZ의 관리권이 유엔과 북한에 있다고 명시돼 있다.

이철희 기자

◆전방감시초소(GP.Guard Post)=비무장지대(DMZ)에 있는 GP는 북한군의 침투나 매복을 조기에 발견하고 동태를 살피는 최전방 초소다.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북 각각 2㎞ 이내에 남측은 70여 개, 북측은 280여 개를 배치해 놓고 있다. 각각의 GP에 소총.기관총.대전차로켓포 등으로 중무장한 소대급 병력(남측 40명, 북측 36명)이 지킨다. 북한군 측 초소는 민경초소라고 부른다.

[J-HOT]

▶ 현대그룹 현정은 회장 "김위원장, 몽헌 회장과 막걸리 추억 되짚어"

▶ 북측 인사 "남측은 정년이 언제냐?" 고민 토로

▶ 김정일 선물 송이버섯 4t, 국내가로 8억원 넘어

▶ 김정일 와인 '미셸 피카르', 수입 땐 3만~4만원

▶ 노대통령 "점심 먹고 짐 쌀지도…" 농담조 압박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