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예측한 김일성 장례절차-10일葬 치른뒤 영구보존할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금수산의사당(주석궁)에 안치된 金日成의 장례식(북한측은「영결식 추도대회」라고 부른다)은 다른 사회주의 국가 지도자들처럼 10일葬이라는 비교적 긴 장례기간을 거쳐 17일 치러진다.
2백73명의 고위층으로 구성된 국가장의위원회는 11일부터 16일까지 조문객을 맞는다.
이미 타계한 다른 사회주의 국가 지도자들의 전례와「넘쳐흐를」추모인파를 고려할때 장례식은 각종 군중집회에 이용되는 김일성광장에서 치러질 가능성이 가장 높다.
17일의 추도대회는 빈소인 금수산의사당에서 金주석 시신을 영구차에 싣고 김일성광장에 옮겨 추도식을 갖고 영구안장을 위해 금수산의사당으로 다시 돌아가는 순서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북한당국은 이미 외국의 조의대표단을 받지 않기로 했으므로 추도식은 평양주재 외국대사관 인사들과 장례위원장인 金正日등유족.추모인파가 참석한 가운데「김일성 업적보고대회」를 시작으로진행된다.
업적보고는 吳振宇등 빨치산 출신 혁명1세대가 맡게될 가능성이높으며 평양시내와 주요 도시에선 이때 조포를 쏘고 3분동안 묵도를 올리게 돼 있다.
그러나 안장(安葬)방법은「영구보존」과「매장」을 둘러싸고 아직까지 전망이 엇갈리는 상태다.
레닌이나 마오쩌둥(毛澤東)등 다른 사회주의국가 지도자들처럼 金日成 역시 「영구보존」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유해 부패방지를 위한 특수처리를 거쳐 일반에 공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측 고위당국자도『북한은 金日成 사후를 대비해 이미 영구보존을 위한 특수유리관을 일본에 주문했다』며『金日成이 북한에서차지하는 위치에 비추어 毛澤東의 경우와 같이 시신을 보존한뒤 대규모 순례단을 계획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북한당국이『金주석 사인은 사망 다음날인 9일 진행한 부검을 통해 확인됐다』고 밝힌 것은 일반적으로 부검을 하지 않는 관행에 어긋나는 것으로 사인 규명보다는 특수처리를 위해 부검이 필요했을 것이라는 주장도 그럴듯해 보인다.
추도식이 끝난뒤엔 영구안장을 위해 김일성광장에서 금수산의사당에 이르는 8㎞ 구간에서 장엄한 가두행진이 벌어질 전망이다.
〈崔相淵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