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산책>대궁-殘飯 일컫는 말로 死語에 가까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먹다가 그릇 안에 남긴 밥.
요즈음이 단군 이래 우리 나라가 제일 잘 사는 때라는 말이 있다.먹을 것,입을 것이 부족함 없이 풍족하기 때문이다.얼마 전까지만 해도 먹지 못해 굶주리는가 하면 제대로 입지 못해 헐벗은 사람도 있었다.
한때는「보릿고개」라 하여 묵은 곡식은 떨어지고,보리는 여물지않아 생활하기 어려운 때를 겪기도 했다.이러한 춘궁기를 넘기기가 얼마나 어려웠던가는「보릿고개가 태산보다 높다」는 속담이 잘반영해 준다.이런 때는 정말 밥 한 그릇 주는 것이 적선이다.
더운밥 찬밥 가릴 형편이 못되고,먹던 밥 새밥 가릴 형편이 아니다.碧初 洪命憙의『林巨正』에 보면 굶어 가며 피신하는 장면이보인다. 『이 교리가 촌 농가에서도 자고 절간 판도방에서도 자고 서당에서도 자고 들판이나 덤불에서 밤을 새우기도 하며,논둑에서 기승밥을 먹고 절에서 잿밥도 먹고 서당에서 선생의「대궁도먹고」한끼 두끼 굶기도 하면서 하여간 무사히 강원도 땅 을 지나 함경도 땅을 잡아들었다.』 이 글에 나오는 「대궁도 먹고」의「대궁」은「먹다가 그릇 안에 남긴 밥」,곧「잔반(殘飯)」을 이르는 말이다.그런데 이 말은 잘 쓰이지 않아 거의 사어가 되었다. 그러나「먹다가 그릇에 남긴 밥」이란 긴 설명을 하거나「잔반」이란 한자말을 쓰기보다「개에 대궁을 준다」,또는「요새 아이들은 남의 대궁은 잘 먹으려 하지 않는다」이렇게 쓰면 좋을 말이다. 이「대궁」은 金裕貞의『산골 나그네』에도「그러나 먹던 대궁을 주워 모아 짠지쪽하고 갖다 주니 감지덕지 받는다」라 쓰인 것을 볼수 있다.「대궁」은「대궁밥」이라고도 한다.
朴甲洙〈서울대교수.국어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