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천갈 때 알아두시면 좋아요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최근 들어, 도심에서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온천이 잇달아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왜 일본인은 이렇게 온천을 좋아하는 것일까? 일본에는「탕치(Touji)」라고 불리는 민간 요법이 있는데 이것은 온천의 효능에 의해, 냉한체질이나 류머티즘 등의 병을 치료 하는 것이다. 또, 구미에서는 하나의 욕조에 많은 사람이 들어가는 것은 없겠지만, 일본에서는 욕조의 뜨거운 물에 모두 들어가는 것은 하나의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성립되고 있다. 온천이든 목욕탕(공중목욕탕)이든, 그것은 원래 맨몸의 교제로 불리는데 「모든 것을 드러낸다=본심으로 이야기를 주고 받는다」라고 하는 가치관의 현상일 것이다. 공용의 장소에서 필요한 매너를 근거로 해 온천에 잠기면서, 같은 뜨거운 물을 즐기고 있는 사람에게 「뜨거운 물이 좋군요」라고 말을 건네 보면 상대는 반드시 호의적으로 맞이해 줄 것이다.

천천히 발 밑에서부터 따뜻하게 하자
1. 목욕탕에 들어가기 전, 정성스레 「내기탕」을..
「내기탕(Kakeyu)」이란, 목욕탕에 들어가기 전에 더운 물로 몸을 헹구는 것을 말한다. 내기탕을 하는 이유는 두가지이다.
첫째는 자신의 땀을 분명하게 헹궈 깨끗한 몸으로 들어오지 않으면 모두가 사용하는 뜨거운 물이 더러워져 버리기 때문이고, 둘째는 차가운 몸인 채로 뜨거운 목욕탕에 갑자기 들어가면, 온도의 차이로 혈압이 급상승해 버리기 때문이다.
「내기탕」은 발 밑에서, 손으로의 순서로 뜨거운 물을 걸쳐 마지막에 머리를 헹구는 순서가 기본인데 이 때에, 정성스레 더러움을 빼면서 천천히 더운 물의 온도에 익숙해 간다.
 
반신욕에서도 꽤 따뜻해진다
2. 갑자기 어깨까지 담그지 않는다.
내기탕이 끝나면, 천천히 목욕탕에 들어간다. 풀이 아니므로, 뛰어드는 것은 안된다. 갑자기 전신이 잠겨 버리면, 전신에 강한 수압이 걸려 심장에 부담이 가고, 주위에 뜨거운 물이 흩날리므로 다른 사람에게 폐를 끼치게 된다. 발 밑에서부터 살짝 조용하게 들어가 우선은 몸의 반의 높이까지 담근 후 상반신이 따뜻해져 오면, 천천히 어깨까지 담근다. 뛰어드는 입욕은 다른 사람 모두에게 폐가된다.

쉬면서, 무리하지 말자
3. 무리한 장시간 목욕은 몸에 독!
일본에서는 예부터 「100셀 때까지 입탕」이라고 자주 말하고, 온천의 효능을 더 바라기 때문에 이제 목욕탕에서 나가고 싶은데, 무리를 해 장시간 목욕(Nagayu)하는 사람이 있다. 장시간 목욕이란, 긴 시간 목욕탕에 담그는 것이지만 이러한 무리가 「뜨거운 물 정답(Yuatari)」이라고 하는 위험한 상태가 되는 원인이 된다.

열사병, 열중증 등의 경우와 같이, 온천도 자신의 체온 이상의 환경에 몸을 쬐는 것이기 때문에, 무리를 너무 하면 혈압과 심박수가 너무 상승해 버려서 가끔 걸을 수 없을 정도로 힘들어진다. 미지근한 물로는 장시간의 반신욕은 가능하지만, 뜨거운 물의 경우는 단시간 잠길 때 마다 목욕탕 밖에 나와서, 휴식를 취하면서 입욕한다. 또 온천의 입욕 회수는 1일 3회까지 하는 것이 좋고 무리하게 100까지 세지 않아도 좋다.

샤워 했어? 아니, 열이 나는 것 같아
4. 뜨거운 물의 성질에 따라서는 입욕 후의 샤워를..
입욕 후, 신체에 뒤따르는 온천 성분은 샤워로 씻어버리지 않는 것이 좋다. 목욕 뒤에 느끼는 한기에 주의하면서 자연스럽게 건조시키고 피부로부터 유효 성분을 흡수시키는 것이 좋다. 그러나 강산성천이나 황화수소천 등과 같이 자극이 강한 온천은 방치하면 피부에 「뜨거운 물 진무름」이 되기 쉽기 때문에, 피부가 약한 사람은 샤워로 씻어버리는 것이 좋다. 또 순환식 욕조의 온천의 경우도 정성스레 씻는 것이 좋다.

* 일본 온천 협회 http://www.spa.or.jp/
* 제공 : 도쿄도
* 사진제공 : JNTO

■자료제공 : 일본전문포탈 '화인재팬' (Finejapan.joins.com)

조인스닷컴(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