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영 청와대 대변인 브리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30일 보좌관 인선과 관련해 "외교안보정책에 어떤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 외교보좌관은

"당분간 좀 보류될 것 같다.시간이 걸릴 것 같다."

- 장재룡 대사 유력하다는 보도가 있는데

"아직 공식적으로 거론된 바 없다.아직까지 계획 없다."

- 라종일.김희상 보좌관 교체가 국방내지 외교분야에서 무능하다는는 데 대한 문책성 인사인가.

"사표를 낸 것으로 알고 있고 다른 분야에서 중요한 임무를 맡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 국가안보보좌관에 군인 출신을 임명한 배경이 있나.

"특별한 배경 있다고 하긴 그렇고 국정원 1차장으로 있으면서 군 뿐 아니라 외교나 통일 등 많은 경험 쌓아온 분이고 그런 차원인 것으로 알고 있다."

- 청와대 외교안보 참모진이 다 바뀌게 됐는데 다른 나라에서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이런 관점도 있을 수 있는데 정책 변화를 추진한다든지 뭔가 설명이 있어야지 않나.

"외교안보라인의 전면 교체라고 얘기할 수 만은 없는게 외교보좌관은 다른 인사요인 생겨 공석 된 것이고 국방보좌관은 본인의 사표로 인사요인 발생한 것으로 알고 있다.외교안보정책에 어떤 변화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

- 각각 사표낸 날짜는.

"파악하고 있지 않다."

- 어제 그제 아니냐.

"그 이전으로 알고 있다."

- 김희상 전 보좌관이 그제 귀국했는데 그 이전에 사표내고 간 것인가.

"분명하게 확인은 못해봤다."

- 발탁 배경에 대해선 자세한데 교체 배경에 대해선 설명이 부족한데.

"그분들이 다른 중요한 업무 맡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 국정원이 외교부간의 통화내역을 파악하기 위해 기자의 휴대폰 통화내역을 조사했다는 국민일보 보도 관련해 지난번 통화내역 조회 있느냐에 대해 대변인이 상당부분 확인작업 거친 다음에 부인했지 않나.

"그때 자료 다시 봤는데 제가 알고 파악한 정보안에서 얘기했고 저한테 물어보는 일들은 청와대 일들이다.청와대 자체에서 조회한 사실 있느냐는 것이었고 민정수석실쪽에서 한 적 없다고 한 것이다."

- 국민일보 외교부 기자 외에 또다른 기자 통화내역을 국정원을 포함해 조회한 적은 있나.

"지금 알고 있는 선에선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 보안유출 사고건에 대해선 청와대에서도 자체적으로 조사를 했나. 국정원 기자통화내역 조회 관련해서 윤대변인 발표 보면 NSC에서 국정원에 조사 의뢰하면서 보안유출 있었다고 했고 국정원도 외교비밀내용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며 NSC가 조사의뢰 했다는데 국민일보 보도 내용이 과연 무슨 외교 기밀이거나 보안조사 대상인가.

"별도 듣지 못했는데 그것은 NSC의 판단이라고 생각한다."

- 위성락 전 북미국장과 장관보좌관에 따르면 허영과장이 1시간 50분간 통화하면서 통화내역 들이댔다는데 민정수석실에서는 부인하고 있다는데.

"민정수석실은 민정 조사과정에선 항상 자체 탐문 결과와 조사의 기법상 넘겨짚기 등 종합해 물어본 것이라고 답변했다."

- 노대통령 사돈인 민경찬씨의 투자자금 모집 문제는.

"조사중인 과정에서 언론에 보도가 된 것으로 알고 있다.조사가 완료되지 않은 사안으로 알고 있다."

- 노대통령 캠프에서 불법자금 사용했다고 주장한 민주당 김경재 의원 발언은.

"청와대는 이것이 전혀 사실 무근의 날조임을 재확인하며 김경재 의원을 바로 검찰에 고소하기로 했다.이번건의 경우 노통 직접 거명한 만큼 대통령의 원할한 국정수행을 위해 검찰 수사 요청할 방침이다. 부산기업들로부터의 3백억 수수설,썬앤문 양길승 50억 수수설과 같은 유언비어와 관련 측근과 관련 주장이란 점에서 특검까지 수용하며 진상조사 기다려왔다. 그러나 김의원 터무니없는 주장은 노통을 직접 당사자로 거명했다는 이유로 진상조사 위해 검찰 고소 통해 진의가릴 것이다.민형사상 책임 져야 할 것이다.조속한 진위판명 통해 유언비어 정치,아니면 말고식 폭로정치 종식돼야 한다.기업이 억울한 피해 당하는 일 없어야 한다."

- 대통령 지시냐.

"청와대의 판단이다."

- 기자 통화내역 조회와 관련해 국정원이 이번 보도건 조회는 1월이고 지난해 12월말에도 국정원이 SK텔레콤에 통화내역을 추적해 갔다.그래서 SK는 공문서 가져왔기 때문에 줬다고 하는데 그것 관련해선 민정수석실이나 외교부에서 확인해본 적이 있나.수시로 기자들 보도 나올 경우에 정부나 청와대가 수시로 추적해 봤다는 추측 가능한데.

"…"

- 열린우리당 입당 제의를 거절해 보복 수사를 당하고 있다는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의 멘트는.

"확인은 못해봤는데 상식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