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통합 끝나가는데…/“내 선거구 어찌되나” 의원들 촉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통합인구 30만이하 지역출신 긴장/“전국구 보장·갑을로 나뉠 것” 기대도
말많고 탈많았던 시·군 통합문제가 정리돼감으로써 해당 국회의원들은 이제 자신의 선거구가 어떻게 될까에 골몰하고 있다.
이번 주민의사투표 결과는 압도적으로 통합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나 26일까지 통합이 확정된 지역은 30개시·29개군. 한쪽의 지역대표성이 소멸돼 통합이 돼도 인구가 30만명이 되지 못하는 곳은 국회의원이 한명으로 줄어들 처지에 놓여있는 것이다.
여야는 지난번 통합선거법을 만들면서 시·군통합이 돼도 지역선거구는 유지하기로 원칙적인 합의를 보아둔 상태. 해당의원들은 시·군통합이 난항을 겪을 것이며 따라서 선거구 조정문제도 큰탈없이 넘어갈 것으로 보았는데 예상과 달리 시·군통합 문제가 찬성쪽으로 급속히 쏠려버리자 바짝 긴장하고 있다.
당장 영향을 받는 지역은 ▲제천시(이춘구)·군(송광호) ▲경주시(서수종)·군(황윤기) ▲안동시(김길홍)·군(유순우) ▲구미(박세직)·선산(김윤환) ▲진주(하순봉)·진양(정필근) ▲원주시(원광호)·군(박경수) ▲춘천시(유종수)·군(이민섭) 등 7개 지역으로 농촌선거구는 자연히 소멸된다.
앞으로 순천(허경만)·승주(조순승)·목포(권노갑)·무안(박석무) 등 전남지역도 찬성가능성이 높아 농촌선거구의 축소폭이 높아지게 됐다.
이들지역은 이번에 주민들이 찬성으로 밀어주었고 인구가 제천은 합해 13만6천,안동은 19만6천명에 불과하다.
이들 대상의원들은 일단 지역이 합쳐져도 선거구가 갑·을로 나눠지길 기대하고 있다.
제천시로 합쳐지는 송광호의원(제천군­단양군)은 『제천군은 시로 통합되지만 선거구는 불어나는 제천시에다 단양군을 합해 「제천­단양 갑·을선거구」 2개로 나눠지지 않겠느냐』고 기대했다.
송 의원의 통합상대는 민정계 중진인 이춘구의원. 그러나 『없어질 경우 양보하겠지만 전국구 등을 보장해줘야 하지 않겠느냐』고 송 의원은 말했다.
원주군­횡성군의 박경수의원은 『내무부에 알아보니 통합이 돼도 선거구 숫자는 유지된다고 하지만 내 판단으로 보면 없어질 것으로 본다. 거취문제는 중앙당과 여론을 따라서 순리대로 하겠다』고 했다. 예컨대 횡성군을 확장된 원주시에 묶어 갑·을로 나누기 힘들다고 판단한 것이다.
합쳐지는 진주와 진양의 경우,정필근의원(진양)은 『선거구를 조정하지 않기로 했는데 누가 그러느냐』고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진주의 하순봉의원은 『진주·진양이 합쳐서 둘로 나눠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진양이 7만8천,진주 25만 합해 33만 수준으로 갑·을로 나눠질 수 있다는 것인데 어떻게 쪼개느냐도 갈등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민정계 간판인 김윤환의원의 선산과 구여권의 실세출신인 박세직의원의 구미가 어떻게 조정될지도 관심이다. 현재로선 구미가 인구 19만·선산이 6만명이어서 군위까지 묶을 경우 갑·을로 나눠질 가능성이 높다.
야당쪽 지역구 사정도 간단치 않다. 민주당 군산(채영석)­옥구(강철선)는 인구를 합쳐 26만9천.
다음달 2일 전남지역의 투표결과에 따라 민주당의 지역구문제가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과 호남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민주당이 장악하고 있는 명주·양양(최욱철의원)의 경우 명주는 강릉으로 붙고 양양은 속초로 합쳐질 것으로 보여 선거구가 날아간다.
보궐선거로 각광을 받고 등장한 최 의원은 『강원도에서 하나뿐인 야당의석이 공중분해될 처지에 놓여있다』며 『강릉으로 선거구를 옮겨 도전하겠다』고 했다.
선거문제는 정치생명을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선거구의 최소 축소폭으로 낙찰될 것이 확실하다. 그래서 나오는 것이 일반도시(농촌형 도시)는 20만명,대도시지역은 30만∼35만명으로 인구하한선을 정하는 방안.
여야의 이해가 일치하는 문제여서 여러가지 묘안이 예상된다.<김기봉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