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유입설 56억 행방 초점/상무대 국정조사 쟁점은 뭔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증인소환 폭싸고 여야 큰이견/「조사계획서」 작성 난항 겪을듯
상무대 의혹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가 실시되면 조사의 핵심은 민주당이 정치권에 유입됐다고 주장해온 비자금 56억5천만원의 행방에 모아질 전망이다. 아울러 여야는 증인채택 문제를 놓고 당장 논란이 예상된다. 민주당은 정치자금 유입설에 거명된 전원을 소환해야 한다며 6공 고위관계자·불교계와 친분있는 여권 인사·불교관게자 등의 증인채택을 요구할 계획이다. 그러나 민자당은 청와대 인사나 민자당 중진들의 경우 야당측이 물증도 없이 의혹만을 제기하는 정치공세의 성격이 짙기 때문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비자금 56억5천만원의 행방에 대해 민주당은 이중 30억원이 청와대측 인사에,20억원은 이현우 전 안기부장,나머지 6억5천만원은 이진삼 전 체육청소년부장관에게 들어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은 이 의혹의 사실여부를 가리기 위해 이들 세사람을 증인으로 소환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그 자금이 어디서 나왔는지 출처도 따질 생각이다
민주당은 또 최근 이 전 체육청소년부장관의 출국이 이 의혹과 어떤 식으로건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이 전 장관의 국내소환도 촉구할 예정이다.
동화사 시주금 80억원의 사용내용을 싸고 진술이 엇갈리는 조기현 청우건설 회장·서의현 총무원장·선봉스님·현철스님도 증인요구대상이다.
민주당은 이밖에 조 회장이 불교법회비 지원금으로 주었다고 주장한 45억원도 정치권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때문에 현재 민자당 중진의원 가운데 서 총무원장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민주계의 C의원,S 전 의원과 K의원,그리고 율사출신의 P의원 등을 증인으로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같은 민주당의 강공과 민자당의 수성으로 여야는 증인대상이 포함된 국정조사계획서 작성을 싸고 열띤 공방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박영수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