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노명대사 日 대중문화 개방발언 각계 입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공론화의 전단계로서 여론 탐색용으로 보이는 孔魯明 駐日대사의일본 대중문화 개방 불가피 발언에 대해 실무부처인 문화체육부는孔대사의 발언이 정부차원의 사전교감을 거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일단 완강히 부인하고 있다.
실무책임자인 문체부 金鎭武문화정책국장은『일본대중문화 개방은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는 시기에 단계적으로 허용한다는 종래의 정책에 아무런 변화가 없고 이 문제에 대해 외무부로부터도 협조요청이 없었다』고 못박았다.
또 鄭文敎예술진흥국장도 이같은 입장을 확인하면서『우리대중문화의 정체성.주체성.경쟁력이 확보되는 시기에 푸는 것이 낫다』며현단계 개방은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개방시기가 성숙하더라도 영화의 경우는 예술영화.합작영화.일반영화順으로,가요의 경우는 음반수입.공연허용.방송허용順으로 간격을 충분히 두고 푼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체부의 현단계 반대입장과는 달리 문화계에선 찬반 양론이 엇갈리고 있으나 공론화는 해야할 시점이라는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작가 崔仁浩씨는『암시장적 일본대중문화가 범람하는 현실에서는 정상적인 채널로 수입.개방하도록 하되 내용에 있어서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선별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지금이 그 문제를 논의할 시기라고 말했다.
소설가 李浩哲씨는『日本문화를 감정을 앞세워 볼것이 아니라 「개방화」라는 국제적 추세의 큰 테두리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李씨는『이제는 더 이상 물리적으로 日本문화를 막을 수만은 없는 상황이 돼버렸다』고 전 제,『일본문화를 막기 보다는 문화 싱크탱크등을 구성해 국내문화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는 범국민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젊은 가수 全仁權씨는『현재 국내가요의 절반이상이 일본가요를 표절하거나 영향받고 있는 실정』이라며 일본문화의 음 성적 유입보다는 차라리양성화해 국내가요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보다 현명한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全씨는『일본가요가 개방되면 처음 얼마동안은호기심에 끌리는 측면도 있겠지만 곧 싫증을 내고 표절시비도 없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