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화제>스포츠비전 국내 첫 출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눈이 스타 플레이어를 만든다」.
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미국.유럽등지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스포츠 비전이론이 국내에서도 책으로 출간됐다. 서울보건전문대 안경광학과 元贊喜.麻基中교수가 함께 엮어낸『스포츠 비전』은 스포츠에서의 눈의 기능과 훈련법을 일목요연하게 소개해 운동선수들뿐만 아니라 일반 동호인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스포츠 비전이란 운동에 필요한 視기능으로 70년대후반부터 미국.유럽등지에서 경기력을 좌우하는 입력 요소로 주목받아 학회.
연구소가 설치되는등 스포츠과학의 한 분야로 자리잡고 있다.
운동과 관련된 주요 視기능은▲정지시력▲動體시력▲안구운동▲폭주(輻輳)조절능력▲深시력▲시각반응시간▲눈과 손.발의 협조성▲주변시야▲시각화능력등.
정지시력은 정지된 물체에 대한 시력이며 동체시력은 좌우전후로움직이는 사물을 볼 때의 시력을 뜻한다.
안구운동이란 야구.테니스.탁구.배구등에서처럼 빠르게 움직이는목표를 눈으로 추적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폭주조절능력은 물체의 거리에 따라 두눈의 각도를 조절하는 능력이다.
심시력은 목표물을 보고 입체감.거리감을 얻는 것이며 시각화능력은 흔히 골프에서 하는 것처럼 물체의 움직임에 대한 예측능력을 의미한다.
흔히『센스가 뛰어나다』고 평가되는 선수들의 경우 이같은 視기능이 다른 선수들에 비해 뛰어난 특징을 갖고 있다.
또 운동에 따라 이들 視기능의 중요도에도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 미국검안협회가 운동종목별로 9종의 視기능이 갖는 중요도를5점 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중요함)로 평가한 결과 수영.달리기가 15점,18점에 그친 반면 테니스.스키.미식축구.카 레이스.축구등은 44~40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같은 야구에서도 타자는 44점인데 비해 투수는 29점으로 視기능의 중요성에 차이가 났다.
이같은 視기능의 중요성때문에 미국에서는 운동선수들에게 체력 트레이닝과 동등하게 視기능 트레이닝을 실시하고 있으며 측정기구.훈련도구도 다양하게 발달돼 있다는 것이 元교수의 설명이다.
元교수등이 소개하는 일상생활에서의 視기능훈련방법은▲자동차나 기차를 타고가며 밖의 간판을 읽는 것(동체시력.안구운동)▲순간적으로 보인 물건을 눈을 감고 머리속으로 생각해 보는 것(시각화)▲하나의 목표물을 주시하면서 시야에 든 주변의 물체를 확인하는 것(주변시야)▲먼거리.근거리의 목표물을 번갈아 보는 것(초점및 폭주조절)등.
이같은 훈련을 통해 골프.축구.테니스등을 즐기는 일반인들도 뚜렷한 경기력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하는 元교수는 특히엘리트체육에 視기능훈련을 도입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李德寧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