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평>업종전문화의 허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물자부족이 극심한 러시아의 어느 장군은 출근할 때 자기집 電球를 갖고 가 사무실에서 쓰다가 퇴근할 때 뽑아서 집에 와 사용하는 일을 되풀이한다고 한다.舊蘇聯의 산업정책 담당자는 규모의 경제만 믿고 과거 70년간 業種전문화를 철저히 추진한 나머지 에어컨에서 비닐에 이르기까지 제품마다 거대한 공장 한 두개씩만 만들었다.그 결과 거의 모든 공장은 그 규모가 西歐 선진국의 평균 10배나 되는 독점 공급자가 되었다.그러므로 어느 한 공장이 고장으로 서면 그 제품을 중간재로 사용하는 공장은 모두 따라서 서게 되어있다.그 결과 대부분의 舊蘇聯 공장들은 서있는 날이 더 많아져 물자부족이 극심하게 되었던 것이다.
업종전문화를 국가가 보장하므로 업무영역 침해의 걱정도 없으니각 공장들은 게으름을 피우면서 低質 제품을 국제시세보다 몇 배나 높은 가격으로 만든다.이코노미스트誌에 따르면 이런 제품을 해외에 팔면 원료값도 안 나온다는 것이다.러시아 산업은 생산 과정에서 원료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줄이고 있다.따라서 제품을 만들지 않고 원료를 모두 외국에 직접 내다팔면GNP를 당장 두배 이상 늘릴 수 있다고 한다.공장문을 닫는 것이 오히려 애국하는 길이라는 얘 기다.이는 모두 철저한 소유.경영의 분리및 업종전문화 정책의 결과인 셈이다.어떤 제품의 경우에도 수많은 생산업체들로 하여금 치열한 경쟁을 하도록 하는것이 올바른 산업정책의 방향임에도 불구하고 舊소련은 반대로 업종마다 한 두 업체를 전문업체로 만들어놓은 데 근본 문제가 있다. 이탈리아는 업종전문화정책 없이 선진국이 되었고,臺灣도 이런 정책을 거의 시행하지 않고도 무역 흑자를 쌓아가고 있다.그리고 모두 이른바 族閥경영으로 소유와 경영도 잘 분리되어있지 않다.요컨대 소유.경영의 분리및 업종전문화만 잘하면 산업경쟁력이 바로 상승한다고 믿는 것은 위험천만이라는 것이다.韓國의 30大그룹은 전체종업원이 1만명 미만인 것에서부터 과장만 1만명이 넘는것 등 극히 다양하다.업종전문화는 정부의 강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룹의 내부사정과 국내외 경제 환경 변화에 맞게,그리고 반드시 치열한 시장경쟁 과정을 통해 이룩되어야 한다.
三星그룹과 現代그룹의 작년 매출액은 각각 44조원으로 합계 88조원이었다.그런데 日本 6대그룹중 미쓰비시그룹의 29개 회원사 가운데 하나인 미쓰비시商社의 작년 매출액은 1백조원을 넘었다.일본에는 이보다 더 큰 綜合商社가 네개나 더 있다.이들은어느 것이나 中進國경제 하나와 맞먹을 정도로 크며 업종도「라면에서 미사일」또는「씨앗에서 인공위성」까지 2만5천개나 될 정도로 다양하다.일본 종합상사는 美國의 업종전문화式 기업과는 거의반대되는 조직이다.
일본 기업그룹은 전문화도,종합화도 다같이 중시한다.세계적 종합상사 전문가인 하버드경영大의 요시노교수는 업종전문화를 강조하는 미국 기업인들은 일본 종합상사를 이해도,설명도,모방도 하지못할 것이며 앞으로 일본과의 경쟁에서 이기기는 힘들 것이라고 한 바 있다.일본이 미국의 CIA같은 정보기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정보수집에 있어서 선두주자가 되는 것은 종합상사 때문이다. 한국인이 주문자 상표부착생산(OEM)방식으로 만든 신발을 외국 업자는 10여달러에 사다가 미국시장에서 1백달러이상 받고판다.그 차이는 유통 마진으로 모두 외국업자의 몫이다.이렇게 제조업 못지 않게 국제 마키팅산업이 중요한 것이다 .일본 종합상사는 바로 그런 역할도 한다.어느 나라든 국제 마키팅산업이 세계수준으로 발전되지 않은채 선진국이 되기는 힘들다.은행등 금융산업의 경우도 마찬가지다.일본의 6대그룹은 세계 6대은행을 갖고 있는데 어느 일본 경제평론가는 앞 으로 어느 선진국도 일본에 금융從屬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한바 있다.
泰國人들은 실크 넥타이를 만들어 5달러정도 받고 파는데,이탈리아人들은 이것을 가져다가 줄을 몇개 더 긋고 색깔을 좋게 해50달러 이상도 받는다.이탈리아의 국제경쟁력은 패션산업에 있다.패션산업은 제조업 못지 않게 중요할 뿐만 아니 라 제조업 발달에도 필수적이다.일본은 심지어 만화를 대대적으로 수출하여 유럽인들로 하여금 日製상품을 살 마음을 갖게 만든 다음 수출하기도 한다.만화산업의 국제 경쟁력에 있어서 일본은 세계 제일이라고 한다.이렇게 패션산업.정보산업.만 화산업.국제 마키팅및 금융산업등 다양한 산업들이 앞으로는 모두 제조업 못지 않게 중요한 산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非제조업 輕視는 위험 세계은행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세계 제일의 고도성장 국가다.한국은 이미 세계 제2의 造船수출국,반도체(메모리)수출국,피아노생산국이며 세계 제3위의 섬유수출국,세계 제1의 라면수출국등으로 이미 많은 산업이 세계수준에 도달해 있다.포 천誌는 얼마전 三星그룹을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인 성장그룹이라고 한 바 있다.이런 한국의 산업을 문제가 있다고 하여 제조업 중심으로,舊式산업 분류방식에 따라 몇개의 주력업종 중심으로 개편하여 강력히 추진할 때 한국경제는 몇 십년 후퇴 할 것이라고 한 어느 그룹 총수의 말은 새겨들을만 하다.
〈서울大 세계경제연구소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