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 신당 안팎의 “처녀처럼…” 민망한 논란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1호 10면

5일 창당하는 ‘대통합 민주신당(이하 신당)’ 내의 시민사회 진영과 정치권의 지분 싸움이 보도되고 있다. ‘1대1’로 하자는 시민사회 측과 ‘1대2’ 여야 한다는 정치권의 논박이었다. 어정쩡하게 봉합은 됐지만 정치권에선 “그들이 더 정치적이더라”며 고개를 가로저었다. “(열린우리당 내) 유시민류의 개혁당 사람들이 보기 싫어 탈당했는데 이들이 더하다”는 푸념도 나온다.

신당의 시민사회 측 상당수는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장관급(김호진·김상희) 또는 주요 역할(오충일 전 국정원 과거사진실규명위원장)을 했다. 그래서 갈등이 불거지자 “시쳇말로 처녀도 아닌 사람들이 처녀인 척한다”는 정치권 쪽의 민망한 비유도 들린다. 물론 ‘도로 우리당’의 비난에 접해선 “시민사회의 새 피가 수혈됐다”고 항변하는 정치권 쪽의 후안(厚顔)은 말할 나위가 없다.

1989년 경실련, 93년 환경운동연합, 94년 참여연대의 창립을 전후한 90년대에 시민사회 단체들은 공명선거, 정책 캠페인을 펼쳤다. 이런 통상 수단에 한계를 느끼자 2000년 총선에선 ‘낙천·낙선 운동’이라는 2단계의 극한 수단을 택했다. 현행법 위반에도 이 모험은 지지를 받았다. 문제는 시민사회 진영이 직접 정치에 뛰어든 지금의 3단계다.

인간과 자연의 조화, 반핵 등을 기치로 창당해 19년 뒤 집권 세력이 된 독일의 녹색당은 기대하지 않더라도 ‘반(反) 한나라당’ 외엔 정치 참여 명분이 영 선명치가 않다. 자칫 기존 정치 세력의 헤게모니만 강화해주는 들러리가 될 수도 있다.
그들의 ‘과대 대표성’도 문제다. 다른 시민단체는 “보통 시민들이 기대하는 시민운동과 신당의 그들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모르겠다”(김민영 참여연대 사무처장, 박완기 경실련 정책실장)고 한다. 탈 이념과 생활 밀착형의 풀뿌리 활동에서 활로를 찾는 게 ‘정파성의 위기’에 처해왔던 시민운동의 요즘 조류다. 불안한 심경으로 정치에 뛰어 든 그들의 행보를 지켜보게 된다.

▶지난 주

2일 한나라당, 경선 여론조사 문항은 “당 대통령 후보로 다음 네 사람 중 누가 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재질문은 허용 않기로 잠정 결정=“누가 더 낫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선호형’ 질문 원했던 이명박 후보 입장에 가까워. “누구를 지지하십니까”의 ‘지지형’ 설문 요구했던 박근혜 후보 측은 “경선 불참” 거론하며 반발

3일 범여권 ‘3당 구도’로 분화=대통합 민주신당과 열린우리당, 민주당으로 나뉘어. 민주당이 끝내 신당 합류 거부하자 민주당 내 김한길계 의원 19명 동반 탈당, 민주신당 합류 

▶이번 주

5일 ‘대통합 민주신당’ 창당 대회(오후2시, 올림픽공원 올림픽홀)=범여권 세력 주축의 원내 2당(의원 85명) 탄생

9일 YTN 한나라당 경선 후보 합동토론=오후 2∼4시 생방송

11일 SBS 한나라당 후보 합동토론= 오후 11시5분부터 방송
5∼10일 한나라당 후보 합동연설=광주·전남(5일광주), 대전·충남(8일대전), 전북(10일전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