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에 공직자 고발전화 폭주/행정이권관련·검경부당행위·세금비리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일손달려 사법연수원생 10명 자원봉사
고위공직자비리를 고발하는 시민들의 분노에 찬 전화로 경실련 고발창구가 몸살을 앓고 있다.
경실련이 부정부패 추방을 위한 고발전화를 설치한 것은 지난 10일. 재산공개 장·차관과 국회의원이 애써 감춘 비리를 파헤치려는 민성이 쇄도하고 있다.
27일까지 접수한 전화만도 2백여건으로 일손이 달리자 사법연수원생 10명까지 자원봉사자로 나서 고발내용을 확인하느라 진땀을 빼고 있다.
고발내용은 권력을 이용한 공직자 비리(42%)가 가장 많고 ▲이권행사에 따른 행정비리(25%) ▲검찰·경찰의 부당결정(15%) ▲기업의 세금포탈·담합 등 경제비리(10%) ▲교육계비리(5%) 등으로 집계됐다.
특히 접수된 고발내용중 장관·국회의원 등 고위공직자비리에는 재산공개파문으로 물의를 빚은 대다수 의원·각료들에 대한 고발이 끼여 있다.
경실련은 부패추방운동을 강화하기 위해 교수 3명이 위원인 정책연구위원회를 설립,공직자윤리법 등을 연구해 부정부패추방운동본부의 활동을 지원키로 했다.
또 접수내용을 원활히 처리하기 위해 박인제씨 등 변호사 3명이 참가하는 조사고발위원회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부정부패추방운동본부 신대균사무처장(40)은 『접수된 비리내용을 조사하고 확인하는데 인력과 조사운영비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조사권이 없어 애로가 많다』고 말했다. 부정부패 고발전화 741­7961∼5.<김동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