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직통전화 거론 못해/UNDP회의/북한대표 당국간 협의 고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두만강지역경제특구 통신망현대화를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북한·중국·몽고·러시아·UNDP(유엔개발계획) 대표자가 모여 30일 서울에서 열린 국제회의에서 각국 대표는 당초 UNDP가 제의한 번호체계(지역번호 2자리 가입자번호 5자리 등 총 7자리)와 디지틀신호방식 등 기술적 문제에 대해 상호 합의하고 폐막됐다.
또 관련 각국은 상호 원활한 의사전달을 위해 연락사무소를 설치키로 했다.
이와 함께 한국측이 제안한 이지역 통신규제문제와 일부구간의 장거리통신망건설에 관한 사항은 각국이 입장을 정리해 3월중 다시 논의키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북한의 최송국대외경제협력추진위원회 서기장은 두만강지역 경제특구의 통신망 현대화개발을 위해 이 지역과 관계국들을 연결하는 중심관문국 역할은 물론 통신관계 비즈니스센터기능을 갖춘 통신센터를 건설하자고 제의했다.
북한은 또 이지역의 투자유발을 위해 나진·혼춘간 중국측이 45채널을,북한측은 60채널 등 총 1백5채널의 마이크로웨이브통신망을 건설하자고 중국측에 제의했다.
한편 관심을 모았던 서울­평양간 30회선의 직통회선 구성문제에 대해 UNDP대표자인 룩 밴 곰펠의 중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측 수석대표인 김명호체신부통신지도국부국장은 『기술적 차원의 문제만이 아니라 남북당사자간 합의를 이뤄야할 사항』이라고 주장,의제에서 제외해줄 것을 강력 요청해 결국 거론되지 못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