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NIE] 한 박자 느린 삶이 아름답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절에 간 큰 부자가 3층 누각에 올라보고 자신도 그런 곳에서 살고 싶었다. 목수를 불러 누각을 짓게 하고 한달 후 가보니 1층을 짓는 중이었다. 이 모습을 본 부자는 화를 내며 "내가 지으라는 것은 1층이 아니라 3층 집이야"라며 호통을 쳤다.

기초를 다진 뒤 1층과 2층을 차례로 올려야 3층 집을 지을 수 있는데 결과에만 집착해 과정을 묵살하는 인생을 비유하는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98가지의 우화로 풀어 쓴 불교의 비유 경전인 백유경(百喩經)에 나오는 이야기다.

외국인들이 '빨리빨리병'으로 빗댈 만큼 결과의식이 유별난 게 우리나라 사람들이다. 하지만 선진국들이 1백년 걸린 경제성장을 40년 만에 앞당겨 교역규모 세계 13위의 경제대국으로 만든 것도 빨리빨리 정신이다. 또 우리나라를 휴대전화와 인터넷 기반 세계 수위의 정보통신 초강국으로 성장시켰다.

문제는 조절 능력의 상실에 있다. 브레이크 없이 너무 빨라 부작용이 심하다는 얘기다. 1960년에 6명이던 출산율이 산아제한 정책으로 올해 세계에서 제일 낮은 수준인 1.13명으로 곤두박질했다.

어디 그뿐이랴. '초고속' 때문에 교통사고율 또한 세계 1위다. 식사 시간은 10분을 채 넘기지 않고,폭탄주 등 독한 술을 마시는 속도도 세계 최고이다 보니 위암 사망률이 세계 으뜸이다.

엘리베이터 문이 닫히는 단 몇초를 참지 못해 닫힘 버튼을 마구 누른다. 약속시간을 기다리지 못하고 휴대전화로 상대의 위치를 수없이 확인한다. 속도가 조금만 늦어지면 컴퓨터를 갈아치워 자원을 낭비한다.인터넷 용어는 축약어나 이모티콘 투성이고, 장편 원본보다는 요약판 책을 선호한다.

기다리지 못하는 조급증 때문에 급행료라는 뒷돈이 생겼고, 사회 질서가 무너지고 있다. 신혼 이혼이 늘어나는 이유도 빨리빨리 정신과 무관하지 않다. 빨리빨리 정신은 한때 우리의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했지만 한국병을 깊게 만든 요인이 된 것도 사실이다.

프랑스 철학자 피에르 상소는 그의 저서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동문선)를 통해 이유 없이 허둥지둥 바쁘게 움직이는 생활로부터 결연히 벗어날 수 있는 지혜로서 '느림'을 제시한다. 여기서 느림은 빠름에 적응할 수 없는 무능력이 아니라 과정을 중시하며 부드럽고 배려가 깊은 삶의 방식이다.

우리가 좀더 느리게 살았다면 공교육이 붕괴되지 않았을 것이다. 대구 지하철 화재나 서울 성수대교 및 삼풍백화점 붕괴 등 대형 참사들도 쉽게 일어나지는 않았을 것이다.

독일 격언처럼 여유를 가지고 서두르면 어떨까. 우리가 무엇을 바라고 그렇게 내달리고 있는지 연말을 맞아 숨고르기를 하며 되돌아보는 것은 어떨까.

◇생각 키우기

①바삐 서두르는 것보다 느리게 하는 편이 낫다는 속담.경구들을 다섯 개 이상 찾아보세요.

②경제개발(62년) 이전과 현재를 비교해 속도 때문에 정신적으로 사라져 아쉬운 것을 세가지만 들어보고 그 가운데 하나를 골라 작문하는 것도 좋아요.

③빨리빨리병은 사람들을 피상적인 관계로 내몰고, 인내심을 갖지 못하게 하며, 빨리 흥분시킵니다. 또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시합니다.

㉠우리 사회 전반에 뿌리 깊은 빨리빨리 정신으로 인한 장단점을 각각 열 가지씩 조사해 봅시다.

☞단점은 교통사고 유발(빨리 달리자)/부실 공사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빨리 짓자) 등.

㉡올해 사회적으로 부작용을 일으켰던 사건이나 커다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낸 사건.사고 가운데 세가지만 찾아 그 원인과 재발 방지를 위한 대안을 마련해 보세요.

④우리나라에서 빨리빨리 정신이 확산된 사회적 배경은 무엇인가요.

⑤조급함 때문에 올해 자신의 계획을 그르친 것은 없는지 반성하고, 느림을 실천하는 입장에서 내년 계획을 세워보면 어떨까요.

⑥속도가 가치 창출의 원천이지만 삶의 만족이나 행복은 느림이나 비움.단순함을 실천하는 데서 나온다고 주장하는 책들이 있습니다. 방학 동안 이러한 책을 한 권 읽고, 자신의 삶에서 느리고 고집스럽게 실현해야 할 가치나 꿈이 있다면 무엇인지 생각해 보세요.

⑦2000년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슬로 시티(Slow city) 운동'은 86년 패스트푸드에 반대해 역시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슬로 푸드(Slow Food) 운동'이 발전된 것입니다. 이 운동에 참여하는 도시들은 자동차 추방, 경음기 사용 금지, 자전거 권장, 보행자 구역 확대 등 환경과 조화하며 삶의 속도를 늦추기 위한 정책을 폅니다. 우리나라에서 실천할 수 있는 슬로 시티 운동의 사례를 한 가지만 들고 구체화해서 인터넷에 올리거나 신문에 독자투고해 보세요.

이태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