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바둑] '제41기 KT배 왕위전' 풍성함과 메마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제41기 KT배 왕위전'
○ . 윤준상 6단 ● . 한상훈 초단

제4보(47~56)=돌의 어떤 형세가 '집'을 품고 있는 것일까. 이는 마치 어느 구름이 비를 품고 있을까 하고 묻는 것과 비슷하다. 육안으로 판별하기 쉽지 않다는 얘기다.

돌의 형태가 풍성하면 집이 깃들기 좋고 메마른 모습이면 나쁠 것이다. 하지만 돌의 형태는 대부분 풍성함 속에 메마름이 있고 메마름 속에도 풍성함이 숨어 있어 대국자의 눈을 흐리게 만든다.

지금 큰 곳이 도처에 널려 있는데도 중앙을 47로 밀고 48 받으며 땀을 쏟는 이유도 바로 돌의 풍성함을 획득하려는 안간힘인 것이다. 51에 이르러 중앙 흑은 강력한 토치카를 구축했고, 이 파워는 전국 곳곳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51을 생략하면 백A로 끊겨 흑은 힘의 근원이 말라 버린다).

이 대목에서 백의 다음 수가 어려웠다. 좌하의 정석은 희생을 통해 축머리를 이용하는 것이 포인트인데 백은 △로 축머리만 둔 채 아직 결정적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우상을 막고 싶어 손이 근질근질한 장면이다. 하지만 윤준상은 52쪽으로 갔다. 두텁다. 그러나 한없이 느릿하다. 이래 가지고 집의 균형을 맞출 수 있을까(한상훈 초단은 즉각 53,55로 집을 챙겼다).

훗날 윤준상 6단에게 물어봤다. 왜 '참고도' 백1로 막지 않았느냐고. 윤 6단의 대답은 간명했다. 흑2를 당하면 백은 판 전체가 말라 버려 우상만 달랑 남는 느낌이다. 실전처럼 52와 56을 두면 꽤 넓은 지역이 풍성해진다.

박치문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