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닉 재산 찾으면 그 사람에 주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공식 재산'은 178억9000여만원이다. 서울시장 퇴임 직후인 지난해 8월 서울시보를 통해 공개된 액수다. 하지만 이 액수는 부동산값을 공시지가로만 계산한 것이다.

이 때문에 부동산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 전 시장의 재산을 시가로 환산하면 신고액의 2~3배라는 게 정치권의 소문이다. 여기에 친인척 명의로 감춰둔 재산까지 모두 더하면 총액이 8000억여원이나 된다는 의혹이 있다는 게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 측 곽성문 의원의 주장이다.

그러나 이 전 시장 측의 해명은 다르다. 우선 캠프 관계자들은 "은닉 재산은 전혀 없다"고 반박한다.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지낸 최측근 정두언 의원이 6일 "이 전 시장이 친인척 명의로 숨겨놓은 재산은 전혀 없다"며 "진짜 은닉 재산을 찾아내는 사람이 있으면 그 재산을 주겠다"고 했을 정도다.

또 캠프는 "공개 재산 중 부동산을 모두 시가로 계산해도 총액은 300억여원 남짓"이라고 주장한다. 서울시보에 실린 재산 178억9000여만원 중 164억8000여만원이 부동산이다. 액수로는 굉장한 규모지만 건수로는 서울 압구정동 주택, 서초동 빌딩 두 채, 양재동 빌딩 한 채 등 네 건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 전 시장 측은 "누구나 금방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속일 수도 없다"고 주장한다.

이들 부동산을 소유하게 된 경위에 대해서도 캠프의 설명은 명백하다. 정 의원은 "압구정동 주택과 서초동 빌딩들은 현대건설에서 지어주거나 보너스로 준 것이고 양재동은 정부에서 지하철 채권을 사달라고 해 샀는데 그걸 부동산(체비지)으로 돌려받은 것"이라며 "이 전 시장은 이익을 얻기 위해 손수 부동산을 팔거나 산 적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반론도 만만치 않다. 최근 한 월간지는 이 전 시장의 재산과 관련해 ▶서초동 꽃마을(현재 법조타운 주변지역) 투기▶도곡동 1313평 은닉▶형.처남의 회사들 실소유 등의 의혹을 한꺼번에 제기했다. 이에 대해 이 전 시장 캠프 장광근 대변인은 "투기 의혹이 있다는 서초동 땅이 바로 현대로부터 받은 보너스"라며 "도곡동 주변에 이 전 시장 친인척 명의 땅이 있는지는 모르지만 이 전 시장과는 모두 무관하다"고 말했다.

또 큰형 소유의 다스(현대자동차 시트 납품업체)와 처남 김모씨의 우신토건이 사실은 이 전 시장 소유라는 소문에 대해서도 "서류상으로든 실제로든 이 전 시장과 두 회사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

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