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굴과정 의혹없게 공개"|고고학회 「비리폭로」 관련 결의문 채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한국 고고학회는 17일 서울대 이선복 교수(고고학)의 용역발굴 비리 폭로파문과 관련, 『이번 파문을 자성의 계기로 삼아 학구적이고 양심적인 본연의 자세를 되찾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고고학회 평의원회에서 채택하고 윤세영 회장(고려대 박물관장) 명의로 17일 배포된 「발굴비리 보도에 관한 학회의 입장」이란 결의문은 ▲발굴조사 과정, 예산, 결과를 공개할 것 ▲용역발굴 조사를 맡기 위한 로비활동이나 경쟁입찰 등의 비학자적 행동을 하지 않을 것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학회는 『이교수가 지적한 것처럼 예산의 과다책정과 발굴조사의 부실이나 용역발굴이 치부나 명성획득의 수단으로 악용되는 비리가 일부라도 존재하고 있다면 지탄받아 마땅하다』고 전제, 『비리가 극히 일부 학자에 한정됐다 하더라도 이번과 같은 파문이 일게 된 것은 고고학계 전체의 책임』이라며 이같이 결의했다.
결의문은 『용역으로 시행되는 구제발굴(공사도중 유적이 발견돼 시행하는 긴급발굴)의 경우라 하더라고 근본적으로 유적의 파괴를 수반하는 것이므로 발굴조사의 부실, 수의 과다, 보존처리 대책의 미흡과 같은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발굴조사 예산의 집행을 둘러싼 잡음의 소지가 없도록 하고 발굴비용 전액이 발굴기간 중에 확보, 집행되게 하여 발굴비의 일부를 조사가 끝난 뒤 수령함으로써 이윤을 남긴다는 오해를 없앤다』는 활동지침을 정했다.
학회는 『이번 파문으로 인하여 용역에 의한 구제발굴 조사가 위축되어 개발사업으로 인한 유적의 파괴가 있어서는 안될 것이며 회원들의 활발한 조사·연구 활동을 기대한다』면서 앞으로 용역발굴 조사에 대한 합리적이고 근븐적이 대책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고학회는 최근 이교수가 모 주간지에 고고학계의 발굴비리를 폭로해 파문이 일자 지난 7일 서울에서 운영위원회를 연데 이어 13일 대전에서 긴급 평의원회를 개최, 이같은 결의를 채택하게 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