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특권·반칙 안 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청와대 관계자는 "27일 오전 문재인 비서실장 주재로 각 수석과 비서관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상황점검회의에서 이 사건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며 "한 점 의혹 없이 신속하고 철저하게 수사하라는 지시가 경찰에 내려졌다"고 29일 말했다. 당시 회의에선 피해자 증언이 상세히 담긴 언론 보도 등을 놓고 "경찰이 과연 이런 점을 모두 파악하고 있느냐"는 의구심이 표출됐다고 한다.

이어 유태열 치안비서관이 경찰의 수사 상황을 보고했다. 결국 회의에선 "경찰의 업무집행 과정에 대해서도 의혹이 일고 있는 만큼 철저히 챙기라"는 입장을 경찰 수뇌부에 전달했다고 한다. 청와대는 경찰이 가해자 측의 힘을 의식해 늑장.부실 수사를 했다면 국정 전반을 책임지는 입장에서 묵과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

한 관계자는 "제주도 서귀포 양지승양 살해 사건 때도 경찰에 국민의 비난이 쏟아지지 않았느냐"며 "이번 기회에 경찰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국무회의 석상에서 "양지승 어린이를 조속히 찾아달라"는 당부까지 했었다.

이에 따라 경찰 고위급의 경질 인사가 있을지 주목된다. 청와대 측은 김 회장 사건이 현 정부가 줄곧 강조해온 '형평과 투명성'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다른 관계자는 "이번 사건을 재벌이나 대기업 일반과 연결할 수 없다"며 "하지만 우리 사회에 여전히 남아 있는 비뚤어진 '특권.반칙.기득권 의식'을 돌아보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고 청와대 측은 밝혔다.

그러나 향후 수사에서도 미심쩍은 부분이 계속 여론의 표적이 될 경우 노 대통령이 '기강 다잡기'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