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혜시비로 자금난 극심/한양,민자교육원부지 왜 포기했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경기침체로 사업전망 불투명 판단/미리 건넨 4백70억 반환 쟁점될 듯
특혜매입시비와 정치자금수수의혹을 낳았던 (주)한양의 서울 가락동 민자당 정치교육원 부지매입 포기결정에 쏠리는 가장 큰 관심은 상당한 이득이 예상되는 매입을 왜 포기하게 됐느냐는 점.
한양측은 이에 대해 ▲기업자금 사정 악화와 ▲불투명한 사업전망 등을 들고 있다.
즉,특혜시비에 휘말리면서 거래은행이 융자는 물론 지급보증도 해주지 않아 제2금융권으로부터 자금조달까지 막히면서 이달에는 직원들의 월급도 2백20억원이나 체불될 정도로 극심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는 것.
또 부동산경기침체로 가락동부지의 땅값이 매매계약당시(1월)의 평당 7백50만원에서 요즘에는 6백만원으로 1백50만원이나 떨어지는등 아파트를 지어봐도 채산을 맞추기가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한양측은 설명했다.
그러나 ▲가락동부지는 서울 강남의 노른자위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데다 ▲서울시내에는 이같은 대규모 부지(1만8천5백평)가 거의 남아있지 않아 건설업체라면 누구나 군침을 흘릴만한 땅이어서 이같은 설명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민자당 내에서도 최근 이 계약을 파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 제기돼 최근 배종열양회장의 계약파기의사에 대해 민자당도 19일 전당대회후의 처리를 조건으로 원칙적으로 합의해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한양이 특혜시비 이후 실추된 기업이미지를 만회하고 사원들의 불만을 무마하기 위한 측면도 감안됐을 것으로 보이고 있다.
한편 한양측이 포기의사를 밝혔다해도 이 문제가 앞으로 완전히 정리되기까지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우선 계약파기 자체는 한양측의 설명대로 별다른 문제가 없다.
민자당으로서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지난 1월의 가계약서에 계약파기에 따른 위약금조항 등도 없었다.
그러나 ▲천안 새교육원 신축공사 및 민자당이 총선자금으로 써버린 토지대금반환 문제 등의 해결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지난 2월 착공된 천안 새교육원의 경우 내년 완공후 대금(3백50억∼4백억원추정)은 가락동 부지 매입대금(1천2백87억원)과 정산키로 하고 현재는 공사대금을 받지 않고 공사중인데 부지매입계약 자체가 백지화되면 대금지급방식도 바꿔야 하게 돼있다.
한양은 이와 관련,▲공사진척도에 따라 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토록 새 계약을 할 것을 요청하고 ▲민자당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에는 법적 대응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또 하나의 변수는 매입계약과 관련,한양이 민자당에 건네준 것으로 알려진 「토지대금」 4백70억원의 반환여부.
한양측은 이와 관련,『이같은 돈을 건네준 적이 없다』고 부인하고 있으나 정계 및 업계에서는 이 돈이 건너가 이미 선거자금으로 쓰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강법명한양사장도 『가계약당시 계약금등 실제 돈이 오고간 것은 없다』고 부인하면서도 『만약 이미 지불된 돈이 있었다면 반환되는게 당연한 것이 아니냐』고 밝혀 여운을 남겼다.
이에 따라 이 돈의 실체여부 및 반환 여부가 향후 중요한 쟁점이 될 전망이다.<민병관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