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종혁시시각각

당신이 입을 열어야 하는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2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극적으로 타결됐다. 밀고 당기는 425일간의 줄다리기가 끝났다. 이른바 진보 진영은 일치단결해 FTA를 비난했다. 하지만 보수라는 한나라당의 반응은 어정쩡했다. 대선 때 농민 표를 생각해 그랬을 것이다. 그날 저녁 우리 국회의원들은 헌정사에 남을 만한 투표를 했다. 정부의 국민연금법개정안은 부결시키고, 그 법안에 붙어 있던 '기초노령연금법'만 통과시켰다. 약이 써 당의정(糖衣錠)으로 만들었더니 달콤한 껍데기만 벗겨 먹은 셈이다. 물론 노인 표를 노린 여야 담합이었다.

6일에는 인천 송도 국제도시의 오피스텔 '더 프라우' 청약신청이 마감됐다. 방은 123개가 나왔는데 36만 명이 몰렸다. 경쟁률 '4855 대 1'. 아마 세계신기록이었거나 그 언저리쯤 될 것이다.

교육도 가세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8일 "3불정책(본고사.기여입학제.고교 등급제 금지)을 잘 방어하지 못하면 진짜 우리 교육의 위기가 올 수 있다"고 말했다. 진짜 교육의 위기? 혹시 대통령은 잠깐 잊었는지도 모르겠다. 학부모.아이들을 반 죽이고 교육부 관료들과 사교육 시장만 폼 잡게 하는 우리 교육 시스템은 이미 걷잡을 수 없이 엉망진창이란 걸 말이다.

불과 열흘 사이에 이 모든 문제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터져나왔다. 어찌 보면 우연의 일치다. 하지만 이유가 있는 것 같기도 하다.

한마디로 이젠 모든 게 곪을 대로 곪았고 갈 데까지 간 것이다. 활주로를 뱅뱅 돌던 '한국호'가 하늘로 치솟을지, 아니면 그냥 비행을 접어야 할지를 결정할 시기가 온 것이다. 그렇다면 차라리 잘됐다.

국가 경쟁력 높일 생각은 하지 않고 3불이네, 아니네 하며 대통령까지 개입해 제도 논쟁만 벌이면 어떻게 될까. 답은 '망한다'이다. 알 만한 사람은 다 안다. 국민연금.공무원연금을 지금처럼 방치하면 나라 살림이 머잖아 거덜날 게 뻔하다. 부동산? 전 국민을 투기꾼으로 만든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사회 통합은 불가능하다. 게다가 한.미 FTA는 장래의 생존이 달린 문제다.

이런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피니언 리더들에게 제안하고 싶은 게 있다. 나라가 이 지경이 됐으니 더 이상 회색지대에 숨어 있지 말고 눈치 좀 그만 보고, 커밍 아웃을 하시라. 자신의 입장과 주장을 밝히고 할 말은 하란 얘기다.

그런 의미에서 서울대 이장무 총장의 9일 발언은 주목할 만하다. 그는 "3불정책을 포함한 대학 자율권 문제를 더 개방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이 3불정책 고수를 선언한 다음 날 이런 얘기를 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한승주 고려대 총장서리도 10일 "틀린 것은 틀렸다고, 옳은 것은 옳다고 얘기할 수 있어야 한다"며 3불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두 총장의 용기 있는 발언을 환영한다. 이젠 아마추어가 아닌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더 존중받고, 평가받는 나라가 돼야 한다. 중국 문화혁명 때처럼 권력을 잡은 아마추어들이 전문가들을 욕보이고 세상을 재단(裁斷)하게 해선 안 된다.

올해 대선이 치러진다. 새판을 짜는 해다. 하지만 정치권만 판을 새로 짜봐야 '말짱 도루묵'이다. 권력이 노 대통령으로부터 또 다른 누군가에게 넘어가는 것에 불과하다. 한국 사회 전체가 새판을 짜야 한다. 그래야 선진국이 되는 게 가능해진다.

1980년대식 낡은 제도와 운동권적 사고방식으론 더 이상 한국 사회를 지탱할 수 없다. 허물을 벗어던질 때가 이미 지났다. 부동산이든, 교육이든, 아니면 연금이든 FTA든 간에 모두 할 말을 하면서 대책을 찾아보자. '한국호'를 격납고에 처박아 버리지 않으려면.

김종혁 사회부문 부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