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제이후 첫 체전의 명암/방원석 체육부기자(취재일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한국 스포츠의 요람인 전국체육대회가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체질개선이 필요하다는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자제실시이후 전국체전을 처음으로 주관한 전북도 관계자들은 야당의원들로만 도의회가 구성된 이 지역 특성탓인지 대회예산의 승인·집행 등에서 견제당하는 바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게다가 민주화바람속에 열린 이번 전북체전은 과거와 달리 학생동원을 일부 일선학교에서 묵살하는 등 도의 행정력이 시·군에 미치지 못해 대회운영에서 차질을 빚고 있는 실정이다.
체전기간중 전주에서 열린 15개 시·도 생활체육과장 간담회에서도 「지자제와 전국체전」이란 주제를 놓고 집중논쟁을 벌였다.
이 자리에서 관계자들은 각 지역단체장들이 민선으로 탄생되는 본격 지자제실시이후의 전국체전은 질·양면에서 크게 위축될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들 관계자 및 체육계 인사들은 전국체전 유치문제는 물론 시·군의 분산개최가 그지역 의원들이 여야 출신여부에 따라 크게 영향받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전망에 따라 본격 지자제가 실시되기전 전국체전을 유치하려는 이상과열현상마저 빚고 있다.
중앙으로부터 시·도가 지방교부금을 우선 확보할 수 있고 업적과 입신을 노리는 시·도지사의 의욕,민선 지역단체장간의 유치갈등을 사전에 없애자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같은 노파심속에 지자제실시이후 모델케이스인 이번 전북체전은 이 지역개발을 10여년 앞당겼으며,영호남의 「동서화합」분위기 조성에 기여했다는 긍정적 평가도 받고 있다.
아무튼 올해 72회째를 맞고 있는 전국체전은 그동안 우수선수 발굴과 함께 도로개설·체육시설신축 및 보수등 지역개발등에 앞장서왔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과거 한때 체전 개막식 등이 집권자의 취향과 구미에 영합해 외양과 규격화등 형식에 흐르는 폐단을 낳기도 했다.
그러나 이제 전국체전은 과거의 획일주의·물량위주의 대형화등 구태에서 벗어나 체육·문화·예술이 가미된 민족종합축제로 개선돼야 하며,또 정략적 대상이 되어서도 안된다는 것이 체육계의 여망이다.<전주에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