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진출 현황] 대사관 직원 등 21명 이라크서 활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현재 이라크에 있는 일본인은 총 21명이다. 일본 외무성에 따르면 대사관 직원 7명, 기자 등 언론 관계자 11명, 비정부기구(NGO)관계자 한명에 여행자 두명이다. 기업.정부기관.유엔 기구 관계자들은 한명도 없다.

외무성 관계자는 1일 "여행자 등에겐 이라크에서 대피하고, 보도기관 관계자들에게는 가능한 한 현지 취재를 자제하되 꼭 해야 할 경우 매우 조심하라고 권고했다"고 밝혔다.

외무성은 또 이라크 주변 국가에 있는 일본인들에 대해서도 테러에 주의할 것을 경고했다.

외무성 대책본부는 이라크 주재 일본대사관에 직원을 더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외무성 관계자는 "현재의 적은 인원으로는 이라크 부흥을 위한 현지 조사나 경비 문제에 충분히 대응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어 증원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라크 부흥사업에 참여하려는 기업들 사이에는 외교관 두명 사망 사건을 계기로 먹구름이 끼고 있다. 이라크 부흥 원조자금으로 50억달러를 제공키로 한 일본 정부는 지난달 초 기업들에 사업 참여 방안을 제안토록 요청, 미쓰비시(三菱)상사.스미토모(住友)상사 등 많은 기업이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그러나 닛케이(日經)산업신문은 1일 "기업들 사이에 '정부가 요청해 제안하기는 했지만 실제로 가능할지 모르겠다'는 의문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또 일부 기업은 재건 사업 프로젝트를 수주해도 일본인 직원을 이라크에 보내지 않고, 외부에서 현지 기업에 작업을 지시하는 '원격조종 시스템'도 준비 중이다.

전화 설치, 구급차.소방차 제공 등 50건을 제안한 스미토모 상사는 전화의 경우 컨테이너에서 꺼내면 그대로 사용이 가능한 소형 설비를 보내고, 건설공사는 이집트 건설회사와 제휴해 참여키로 했다.

도쿄=오대영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