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입자유화/70%가 긍정답변/무공,미 관계자 1천명 설문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80년대 후반부터 악화되어 온 한미통상관계에 대한 미국측 반감이 올들어 뚜렷하게 수그러들고 있다.
무역진흥공사가 최근 미국의 업계·언론계·학계·법조계등 여론주도층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의 수입자유화정책에 대해 69.5%가 「만족한다」고 응답한 반면 「불만족」은 26.9%에 그쳤다.
지난 89년 무역진흥공사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만족한다」는 응답이 3.2%,「불만족」이 77.4%였던 점과 비교하면 미국 여론주도층의 대한통상인식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앞으로의 한미통상 관계에 대해서도 대부분 개선되고 있다(63.1%)거나 현 상태로 유지될 것(27.7%)으로 전망,한국이 제2의 일본이란 경계심은 일단 누그러진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들은 특히 외국기업의 원활한 대한진출을 위해 한국정부가 취한 조치 가운데 비관세장벽제거­지적소유권 보호­시장평균환율제 실시­관세인하 순으로 정책의 의미를 높이 평가했다.
응답자들은 한국의 가장 발달한 산업으로 전자(52.4%) 철강(21.2%) 자동차(10.6%)를 들었고 한국상품의 품질에 대해서도 「좋다」는 반응이 81.8%로 나타났다.
한편 응답자의 97.5%는 미정부의 태도가 한국시장 개방에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보고 있으며 91%가 한국경제를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신흥공업국으로 평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