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인력 키워야|잡지가 살아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잡지계의 발전을 의해 잡지정보센터 운영, 정규대학이나 전문대학에 잡지학과신설,「제3종 우편물」인가요건 완화, 잡지기자에게도 취재수당 공제혜택 부여, 잡지협회 산하에「잡지윤리자율실의기구」및「수용자 상담센터」설치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같은 지적은 한국잡지협회(회장 김수달)가「경보산업사회에서의 잡지발전방향」을 주제로 4일 서귀포 KAL호텔에서 개최한 제11회 잡지세미나에서 원우현교수(고려대 신방과)가 제기했다.
원교수는 이날「잡지발전을 위한 환경개선 방안」이란 주제발표를 통해『87년 언론활성화 조치 이후 신규등록이 자유화되자 비슷한 종류의 잡지가 난립, 독자들이 잡지의 성격과 내용을 식별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지 않는다면 공멸을 자초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원교수는 또『전문인력의 양성과 재교육이 잡지계 발전의 최대 관건』이라고 전제,『잡지가 신문·방송과 달리 심층취재 및 전문적 진단을 내리는데 특징이 있는 만큼 고유한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잡지에 종사하는 언론인들을 전문화하는데 인색해서는 안되며 따라서 정규대학의 잡지학과 신설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설의 현대화와 뉴미디어의 채용도 서둘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원교수는 잡지의 개선은 잡지계 스스로의 노력에 정부의 지원이 보태질 때 비로소 가능할 것으로 단정했다.
따라서 낮은 보수와 사회적 대우로 침체돼 있는 잡지기자들에게도 취재수당 공제혜택을 줘 일단 사기를 올리고,「매회 5천부 이상 정기발행하고 통산 10회 이상 발행한 실적이 있어야 인가해주던 제3종 우편물 요건을 매회 3천부 이상 통산 5회 이상」으로 낮추는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밖에 원교수는 구독자대표·언론학자·일선 편집자·이익단체 대표·국회의원 등을 위원으로 하는 자율심의기구를 마련, 다양성 과 오락성에 문화가치와 윤리성을 접목시킬 때 정보시대의 주요매체로 자리잡게 된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