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ㆍ허리 디스크 환자, 비행기 창가 앉지마"

중앙일보

입력

겨울방학을 맞아 미국 뉴욕으로 연수를 다녀온 대학생 신정인씨(가명,23)는 입국한지 이틀이 지났지만 온몸에 뻐근해 움직이는 것이 여간 힘든 게 아니다.

신씨는 "비행기 안에서 장장 16시간을 앉은 자세로 있었더니 어깨와 목, 허리가 너무 아팠다"며 "이로 인한 후유증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실제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들 중 목, 허리 ,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일반적으로 좁은 의자에 앉아 오랜 시간 비행기를 타고 여행할 때면 목과 허리에 피로가 쌓여 어깨, 다리까지 쑤시게 된다.

우리들병원 비수술척추종합센터 장원석(척추통증의학) 부장은 "비행 시 일어날 수 있는 질환으로 흔히 이코노미클래스증후군이 있지만 실제로는 장시간 비행으로 인한 어깨, 목, 허리 등의 자세에 더욱 무리가 생겨 오히려 후유증이 더욱 심하다"고 설명한다.

비행척추피로증은 의학적인 병명은 아니지만 오랜시간 비행 시 척추에 무리를 가져 올 수 있는 증상을 가르키는 말로, 여행에서 돌아와 적어도 1주일 이상은 척추 피로를 풀어줘야 후유증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의들의 조언이다.

이는 혈액순환 장애와 혈전으로 인해 폐나 심장혈관을 막아 호흡곤란, 심폐정지로 인한 사망에 이르게 되는 이코노미클래스증후군(economy class syndrorm)과 같은 혈관질환과는 다르다.

장 부장에 따르면 비행 뿐 아니라 오랜 시간 잘못된 자세로 앉아있을 경우 가볍게는 어깨와 목의 근육 통증, 두통 등을 일으키고 경추 아래로 이어진 허리, 골반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똑바로 서 있을 때 척추에 실리는 무게를 100kg으로 보았을 때 의자에 반듯하게 앉아 있으면 140kg, 의자에 구부정하게 앉아 있을 때 185kg로 1.8배 정도 척추에 무리가 더 많이 갈 수 있다는 것.

이에 장 부장은 "허리에는 뼈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근육, 디스크 등으로 구성돼 있어 한 자세로 오래 앉아 있게 되면 이것들이 한꺼번에 긴장해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며 "더욱이 여행 짐을 옮기기 위해 선 채로 허리를 숙여 물건을 들 때 악화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때 척추에 실리는 부담은 서 있을 때보다 2 ̄3배 정도 가중되며 갑작스럽게 허리에 무리가 올 경우 뼈에는 이상은 없지만 허리디스크 수핵이 탈출되거나 수핵이 찢어질 수도 있는 만큼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는 것.

따라서 비행기 안에서 척추의 피로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자에서 일어 날 때에는 한번에 갑자기 일어나지 말고 의자 끝에 나와 앉았다가 일어 나는 것이 요통을 막는 길이다.

오랫동안 앉아 있을 때는 가끔 일어나서 비행기 내 복도를 왔다갔다하거나 서있기, 한 다리를 다른 다리에 얹어 놓기, 목, 허리 스트레칭 등을 해 통증을 방지하도록 한다.

장 부장은 "이때 반동을 이용하지 않고 부드럽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기존 목이나 허리 질환이 있다면 창가 쪽보다는 복도 쪽을 택해 앉아 자주 해주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또 비행기 속에서 허리가 아파오면 안전벨트를 이용할 수 있는데 허리 뒤에 두 개의 베개를 받치고 발 밑에는 가방 같은 짐을 받쳐 무릎이 엉치 보다 높아지도록 한 다음 안전벨트를 졸라맴으로써 든든한 받침을 얻을 수 있다.

한림대의료원 한강성심병원 재활의학과 서정훈 교수는 "비행기 안에서 장시간 잘못된 자세로 수면을 취하거나 좁은 좌석 공간 오래 앉아 있게 되면 온 몸이 구겨져 있는 현상이 발생된다"며 "비행이 끝난 후 관리도 비행 중 스트레칭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서 교수에 따르면 비행 후에는 마사지나 목욕을 통해 근육을 이완시키고 체온을 올려주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혈액순환의 원활함은 통증을 감소시킬수 있기 때문.

뜨거운 물수건이나 샤워기를 이용해 마사지를 하거나, 반신욕으로 가볍게 땀을 내면서 허리에 부담이 적은 스트레칭을 하면 비행 시에 무리가 생겼던 몸의 근육들의 이완과 함께 상쾌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 비행을 마치고 난 뒤 며칠동안은 집에서 누운 자세로 발끝을 펴고 양팔은 깍지를 낀 채 위로 쭉 늘리는 스트레칭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기상 후 발목을 세우고 기재개 켜기 같은 동작을 10초간 3회씩 실시하면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이다.

한편 다가오는 설날 귀경길의 극심한 정체가 우려되는 바, 장시간 차 속에서 허리가 아플 때라면 왼쪽 다리를 구부려서 발을 의자 쪽으로 당겨 놓는 것이 좋다.

장 부장에 따르면 운전시 요통히 심한 경우라면 차를 세우고 차에 기대 웅크려 있는다. 마치 태아 같은 자세로 가슴 쪽으로 무릎을 구부려 주고 턱을 가슴 쪽으로 당겨 체중과 중력의 부담이 허리에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전문의들은 이와 관련 "비행기 안에서도, 차 안에서도 이같은 스트레칭이나 근육이완법이 오고가는 여행길에 지친 심신을 완화시켜줄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한다.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