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치안유지 전투병 파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이라크 추가 파병과 관련, 공병.의료 등 전투지원병 중심의 부대를 파견하려던 당초 안을 변경해 이라크 현지 안정화를 위한 전투병 중심의 부대를 파견하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차영구(車榮九)국방부 정책실장은 11일 "공병.의무 위주의 기능적 접근보다 일정한 지역을 맡아 독립적인 작전을 수행하는 포괄적 접근 방안이 보다 합리적"이라며 "치안 유지를 주요 임무로 하는 부대를 보내는 안에 대해 정부 내에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파병 협의단 수석대표로 미국과 협의를 벌였던 이수혁(李秀赫)외교통상부 차관보는 지난 9일 "한국은 평화.재건을 위한 3천명 규모가 적절하다고 판단했고, 미국은 안정화 작전을 위해 보다 큰 규모의 파병을 기대했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정부 합동 2차 이라크 현지조사단은 이라크 치안이 매우 불안하며, 이에 따라 어떤 성격의 파병이든 경계병이 강화돼야 한다는 의견을 이날 열린 노무현(盧武鉉)대통령이 주재한 통일.외교.안보 관계장관 회의에 보고했다.

특히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파병 규모와 관련해 '5천명선의 전투부대'를 희망하는 미국 측 요청을 감안, 향후 협의과정에서 우리의 당초 안인 3천명보다 더 늘릴 수도 있다는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병 대상 지역은 모술이 배제된 대신 173공정여단 작전구역인 북부 키르쿠크가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은 "盧대통령이 주재한 안보관계 장관회의에서 전투병 위주로 파병하는 쪽으로 논의가 이뤄진 바 없다"며 "전투병 위주 파병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고 부인했다.

한편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은 10일 "파병은 어려운 결정이지만 우리는 한국이 스스로 옳다고 믿는 바대로 하길 원한다"면서 "우리는 한국 정부에 대해 가이드 라인을 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주한미군 감축 문제에 대해 그는 "한.미 양국은 과거에 얽매여 있는 게 아니라 21세기에 적합하게 스스로를 변화시켜야 한다"며 감축을 기정사실화했다.

워싱턴=김종혁 특파원, 이철희.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