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김정일 권력 기반 다진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이북 도민회 중앙연합회 부설동화 연구소(소장 이경남)는 18일부터 3일간「북한의 실상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제1회 국제학술회의를 갖는다.
소련·중국·동구권 학자를 포함, 40여명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이번 학술회의의 주제발표중 세 편의 요지를 싣는다.
◇김정일 권력의 기반과 구조(사카이 다카시·일본 법무성 연구위원)=김정일은 선전·경제 및 군사분야에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지위를 획득했으며 이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김일성이 때때로 중요한 기회 제공 ▲다양한 대중 동원 운동과 선전활동의 수행 ▲김정일 자신이 중간계층 간부들과의 연계를 중시한 것 등 이 그의 지위 확립에 큰 도움이 됐다.
조직의 측면에서 볼 때 김정일의 권력기반은 수평적으로는 군사·경제 및 선전 조직들을, 수직적으로는 북한 권력의 중앙 상층에서부터 하층까지를 각각 포괄한다.
인사관리와 구성원의 측면에서 볼 때 그의 권력기반은 수평적으로는 예술·이데올로기· 전문관료·과학·기술자 등의 다양한 분야를, 수직적으로는 노년 및 장년 층에서 청년층에 이르는 다양한 세대를 포괄한다.
따라서 현 북한체제 내에 김정일에 반대하는 일정한 세력이 있다고 가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김정일이 계승하게 될 체제의「안정성」을 예측할 때는 절대 권력이 행사되는 곳일수록 권력의 자기정화기능이 감퇴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북한의 새 경제·외교정책의 필연성(줄리 반체프·불가리아 세계 경제 및 국제경제 관계 연구소 교수)=북한은 최근「주체」사회주의를 구제하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경제원조와 협력(특히 일본·남한)을 시급히 필요로 하는 역설적인 상황에 놓여 있다.
북한 당국은 이미 정치·외교를 위해 경제를 지렛대로 이용하는 것을「정당화」하고 있다.
북한이 새 경제·외교정책을 수립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은 ▲북한이 소련 및 중국과의 무역관계에서 얻어 왔던 특혜 조건들의 상실 ▲남-북간 경제관계의 증진 ▲북한의 대일 경제·외교관계의 정상화 ▲중국·대만간의 경제통합 과정 등 네 가지다.
동구국가들의 최근 경험을 볼 때 북한의 경제가 신 기능주의 적인 방향으로 가다 보면 전체주의적 사회로부터 민주사회로 이행하는 마지막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평화의 통일정책(레셰크시르지크·폴란드 국제문제연구소 연구위원)=북한의 연방정부안은 ▲현재 북한 지도자들이 확고하게 이를 주장하고 있고 ▲89년 노태우 대통령이 주장한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의 이념과 어느 정도 합치되는 면이 있으며▲ 동서관계의 변화가 남북한 통일과정에서의 태도 변화를 암시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주목을 요한다.
북한의 지도자들이 새로 90년대 통일정책을 정립할 때 몇 가지 요소가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첫째, 빈곤한 경제사정과 관련해 체제를 개혁할 것인지, 아니면 인민의 권리를 더욱 제약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하는 딜레마.
둘째, 외부세계에 경제를 개방함으로써 앞으로 불가피하게 상대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더 심해져 간다는 것.
셋째, 주체사상을 계속 유지해서는 북한 당국이 불가피한 사회변화과정을 성공적으로 통제할 수 없으리라는 것.
넷째, 북한이 더 이상 자신의 동맹국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없으므로 새로운 방침을 마련해 소련과 중국, 그리고 이전의 공산국가들과 관계를 정립해 나가야 한다는 것.
다섯째, 비동맹 운동의 역할이 쇠퇴해감에 따라 북한이 그동안 여기에 쏟아 넣은 정치적 투자를 이제 만족스럽게 활용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
남북한 총리들의 수 차례 접촉 등 최근 남북한 관계를 보면. 북한의 지도자들이 통일문제에서 보다 현실적인 방법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리=유영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